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올해 코로나 치료제의 빠른 허가 및 심사를 밝힌 만큼 관련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췌장암 치료제로 알려진 '나파모스타트'는 논문과 실제 치료 사례 등을 통해 강력한 항바이러스 및 항염, 항혈전 효과가 증명된 약물이다. 나파모스타트는 반감기가 8분 정도로 지속성이 낮아 알약으로 만들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이번 임상을 통해 성공 가능성을 확인했다.
나파모스타트는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하는 세포막의 'TMPRSS2 수용체'에 먼저 결합해 바이러스 감염을 막는 기전을 가진다. 코로나19와 사스, 메르스 등 호흡기 바이러스에서 공통된 효과가 확인됐다. 변이 바이러스도 감염 경로가 동일해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 한국파스퇴르연구소의 '인비트로' 실험에선 치료제로 잘 알려진 '렘데시비르'보다 600배 이상의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일본 동경대와 국내 단국대병원 등에서도 코로나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돼 효과가 있음이 논문으로 발표된 바 있다.
뉴지랩테라퓨틱스 관계자는 "나파모스타트가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코로나 치료 후보 물질이라고 판단한다"며 "개발을 마치면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고 부작용 우려도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책 과제 등을 통해 임상 비용을 줄이는 방법을 검토하는 한편 정부가 최근 빠른 허가 심사를 약속한 만큼 임상 2상을 마치고 '긴급승인신청' 등을 통해 치료제를 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