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활한 호주땅 수소 생산, 뛰어난 한국 기술력 '찰떡궁합'

머니투데이 시드니(호주)=정진우 기자 2021.12.15 05:00
글자크기

[the300][호주 국빈방문 리뷰]①한-호, '탄소중립·수소경제 협력' 성과와 의미

[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2.13.[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2.13.


호주를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탄소중립을 비롯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손을 잡았다. 두 정상은 앞으로 관련 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탄소중립 기술 파트너십 이행계획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오전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에서 모리슨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한국과 호주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저탄소 경제 전환에 힘을 쏟고 있다"며 " 미래 핵심 산업을 함께 키워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특히 "오늘 모리슨 총리님과 나는 '탄소중립 기술 파트너십 이행계획 MOU'에 서명했다"고 강조했다.

MOU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호 에너지자원협력위 내 탄소중립기술 워킹그룹 신설 및 연1회 이상 개최 △수소공급망, 탄소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 저탄소철강 등 최우선 협력 분야를 비롯한 탄소중립기술 전 분야 협력 △청정 수소 공급망 구축, 인증, 인프라 구축 협력 등이 담겼다.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 "양국은 수소경제, 태양광, 탄소 포집 장치 등 친환경 핵심기술 분야로 협력의 지평을 넓히고 탄소중립을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호주는 광대한 국토를 기반으로 각종 재생에너지의 생산 잠재력이 크다. 호주 정부는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의 활용 방안으로 수소를 주목하고 포스트 화석연료시대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관련 산업을 적극 키웠다. 풍부한 천연가스와 석탄 잠재력을 이용한 블루 수소 생산도 가능해 앞으로 수소 생산에 높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런 호주가 우리나라를 수소경제 협력 파트너로 꼽았다. 우리 기업들의 앞선 기술력 때문이다. 수소경제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정한 우리나라로선 호주와 협업이 필요하다. 재생에너지 자원이 필요한 우리나라와 기술력을 원하는 호주의 윈윈 전략이다.


우리나라는 호주 측의 요청에 따라 지난 10월31일 G20 계기 한·호주 정상 간 기후변화 공동 대응 및 친환경 협력 강화를 위한 탄소중립 기술 파트너십 성명 발표했다.
[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스콧 모리슨 총리가 13일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에서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앵거스 테이얼러 산업에너지부장관의 ‘탄소중립기술 파트너십 이행계획 MOU’ 서명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1.12.13.[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스콧 모리슨 총리가 13일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에서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앵거스 테이얼러 산업에너지부장관의 ‘탄소중립기술 파트너십 이행계획 MOU’ 서명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1.12.13.
이 파트너십은 호주가 그간 독일·일본·영국 등 타 국가와 체결한 유사한 파트너십에 비해 차별화된 점이 많다. 수소 공급망, 철강 등 우리의 산업적 특성이 반영된 분야를 강조했고 기술 개발뿐 아니라 실증사업까지 포괄한 게 눈에 띈다.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플래그십 프로젝트 선정을 통한 신속한 협력도 추진한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MOU는 지난 10월31일 G20 계기 한-호주 정상 간 발표된 '탄소중립기술 파트너십'의 구체적 이행 방안을 양국 정부가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청정 수소 생산 잠재력이 큰 호주와 또 수소 활용 산업에 강점을 가진 한국 간에 청정 수소 협력 의지를 표명하고 협력 분야를 합의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호주 국빈방문을 통해 이 파트너십의 신속한 이행 추진을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논의했다. 내년엔 두나라가 협의를 통해 연구 개발 협력 핵심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협력 범위와 분야를 늘릴 계획이다.

정부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선 수소가 2050년 최종 에너지 소비의 3분의1을 차지하는 핵심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내다본다. 그리고 이 중 80%는 해외에서 도입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 같은 국내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선 수소 공급 잠재력이 큰 국가와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와 호주가 앞으로 수소공급망을 확충키로 한 것도 이때문이다. 수소경제를 뒷받침할 수소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수소 생산과 저장, 운송기술을 함께 개발할 방침이다.



또 저탄소 철강 생산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철강생산 시 사용하는 원료를 화석연료(유연탄 등)에서 수소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수소환원제철 등) 및 수출용 철광석 가공 시부터 저탄소 공정기술 개발하는 게 골자다.

아울러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개발에 힘쓰기로 했다. CO2 포집기술 고도화, 양국 간 CO2 지중·해저 저장 프로젝트 협력, CO2 광물화 등 활용기술 개발이 핵심이다.
[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13일 캔버라 국회의사당 내 대위원회실에서 확대회담을 하고 있다. 2021.12.13.[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13일 캔버라 국회의사당 내 대위원회실에서 확대회담을 하고 있다. 2021.12.13.
이밖에 우리나라 기업의 호주와의 협력이 필요한 곳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등 산업계에 필요한 중장기 수소공급망·CO2 대량저장소 등 확보를 지원하기로 했다.

수소·CCUS·태양광·ESS 등 분야에서 우리 기업들의 R&D 및 실증 프로젝트 수요 100여 건 이상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해외 수소공급망을 40개소로 늘리고, 모빌리티·전력·철강 부문 수소 공급 위해 호주와 협력이 필요하다. 호주는 그린 수소(태양광·풍력), 블루 수소(갈탄·가스) 생산 에너지원 풍부하다. 현대차·고려아연·포스코 등은 호주와 그린 수소 협력을 이미 추진 중이다.



이산화탄소 포집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시 저장소 확보가 필수적인데 호주는 2004년부터 육·해상 폐광구에 대규모 CO2 저장 프로젝트 추진 중이다. K-CCUS를 중심으로 호주 프로젝트 참여 및 공동 R&D 수요를 늘릴 방침이다. 현재 K-CCUS엔 SK E&S, 포스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80여 개 정부·산·학·연 협의체가 참여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호주는 탄소중립 기술 파트너십 체결을 우리나라에 먼저 제안하고 우리 정상의 호주 방문을 지속적으로 요청하는 등 우리와의 협력 의지가 높다"며 "호주는 화석연료 중심의 제조·에너지 생산방식에 있어 기술혁신을 통한 탄소배출 감축 의지가 높아 기술 분야에 있어 발전적 협력 가능성 크다"고 말했다.

문 장관은 "호주는 태양광 발전에 유리한 자연환경과 풍부한 천연가스 자원을 바탕으로 그린 수소, 블루 수소 공급망을 구축할 계획이고 이미 착수가 이뤄졌다"며 "우리나라는 수소차, 연료전지 등 수소 활용 산업에 강점이 있어 이런 양국이 서로 힘을 합치게 되면 협력의 시너지는 상당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호주 기업 간 청정 수소 생산·활용 부분에서 다양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호주 퀸즈랜드 지역에서 수소사업 추진을 위한 자회사를 설립해 호주 연방·주정부로부터 상당 부분 지원을 받아 이미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는 실증사업과 연계해서 수소충전소 구축 및 140톤급 수소트럭 운영과 같은 시범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호주 기업과 함께 탄소중립 MOU를 체결해서 수소환원제철을 이용한 철강 생산, 수소 생산, 신재생에너지 등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문 장관은 "이러한 기업 간 협력 과정에서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도록 양국 정부가 적극 협력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이번에 체결된 MOU를 바탕으로 수소공급망, CCUS, 저탄소철강 같은 3개 분야에 대해서 장기적인 기술 개발을 양국이 공동 지원함으로써 기업의 부담은 줄이고 앞으로 개발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호주 정부는 향후 10년간 최대 5000만 호주 달러(약 420억원)를 투자할 계획을 이미 밝혔고 우리 정부도 내년에 총사업비로 54억원이 내년도 예산에 계상돼 있다"며 "국내 예산편성 절차에 따라 앞으로 장기간에 호주에 상응하는 규모를 매칭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