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올림픽' 보이콧 동참?…靑 "현재 검토하지 않아"

머니투데이 정진우 기자 2021.12.08 15:55
글자크기

[the300](종합)

(서울=뉴스1) =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3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2019.12.24/뉴스1  (서울=뉴스1) =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3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2019.12.24/뉴스1


청와대가 8일 미국을 비롯해 영국, 캐나다 등 여러나라들이 중국 베이징 올림픽에 대해 외교적 보이콧(불참)을 발표하고 있는 것과 관련, "우리 정부는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관련 질문을 받고 "정부 대표 참석(자 구성 등)과 관련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 없고, 결정되면 알려드릴 것"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은 외교적 보이콧을 발표하기 전에 한국 측에도 미리 알려온 바 있다"며 "미국은 여타 각국들이 외교적 보이콧할지 여부는 각국이 판단할 사안이라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정부는 베이징 올림픽이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2021년 도쿄하계올림픽에 이어지는 릴레이 올림픽으로서 동북아와 세계 평화 번영 및 남북관계 기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는 기본 입장을 가져왔다"고 했다.
[워싱턴=AP/뉴시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이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일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이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일일 브리핑을 하고 있다.
미국의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선언으로 베이징올림픽을 계기로 문재인 대통령이 추진하려던 종전선언 구상에 차질이 생겼다는 정치권의 분석에 대해선 "종전선언과 베이징 올림픽 직접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 정부는 베이징 올림픽이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는 입장을 계속 가져오고 있다"며 "다만 종전선언 관련해서는 특정한 시기나 계기를 두고 추진하고 있지는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종전선언 추진과 관련해서는 한미 간 협의가 주축이 돼서 문안이나 시기, 참석자 등 여러가지 상황을 조율해오고 있다"며 "이와 관련 북한 측이 어떻게 호응해 나올지가 관건이고, 저희로서는 지금 단계에서 어떤 방향 등을 예단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렇지만 남북이 이미 정상 차원에서 2007년 10.4선언과 2018년 4.27 판문점선언 등에서 종전선언 추진에 합의한 바있기 때문에 북한 측의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