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MZ세대도 '강성 노조' 택했다…"전기차 전환에 제동"

머니투데이 정한결 기자 2021.12.08 10:17
글자크기

새 노조위원장에 '강성' 안현호

현대자동차 노조 지부장에 당선된 안현호 후보. /사진제공=뉴시스(현대차 노조 제공)현대자동차 노조 지부장에 당선된 안현호 후보. /사진제공=뉴시스(현대차 노조 제공)


현대차 노조 차기 지부장으로 강성으로 분류되는 안현호 후보가 8일 당선됐다. 2년간 무분규 임금단체협상을 이끌었던 '실리파' 노선의 노조 집행부가 물러나면서 향후 노사 관계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8일 현대차 노조에 따르면 안 후보는 지난 7일 조합원 4만87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9대 임원 선거 2차 투표에서 2만2101표(53.3%)를 얻어 1만9122표(46.1%)를 얻은 권오일 후보를 제치고 당선됐다.



앞서 두 후보는 지난 2일 실시된 1차 투표에서 1위·2위를 차지해 결선에 올랐다. 안 후보가 2차 투표에서 9개 사업부 중 전주공장과 판매 두 곳을 제외한 나머지 7곳에서 더 많은 표를 얻으며 당선됐다. 특히 MZ세대와 연구직이 많은 남양연구소에서도 55.7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신입사원 초임 인상·호봉표 개선·선진 연구환경 조성 등의 MZ세대·연구소 직원들을 타깃으로 삼은 공약들이 주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는 현대차 사내 현장조직인 '금속연대' 출신이다. 1998년 현대차 정리해고 투쟁 당시 현대정공노조 위원장으로서 현대차 노조와 연대 총파업을 이끈 강성 인물로 분류된다. 이번 선거에서는 상여금 전액 통상임금 적용·식사 시간 1시간 유급화·정년 연장·일반직과 여성 조합원 처우 개선·4차 산업혁명 고용 대책 마련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에 따라 향후 노사 관계에 변화가 예상된다. 현대차는 강성 노조 집행부가 집권했던 2012~2018년 7년 연속 파업에 나섰다. 2019년 당선 이후 지난 2년 연속 무분규 임금단체협상을 이끌었던 이상수 전 지부장은 1차 투표에서 득표율이 19.9%에 그쳐 탈락했다. '강한 노조'를 원하는 조합원들의 의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안 후보는 해외공장 운영에 노조 개입을 강화하고 노동이사제 도입을 통해 경영에 참여하는 등 사측이 극구 반대해왔던 내용들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현대차의 미래 모빌리티·전기차 전환 계획을 두고 파업 등을 통해 사측과 갈등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 5월 2025년까지 미국에 74억달러를 투자해 전기차 현지 생산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조가 전기차 일자리 등을 두고 반대에 나서면 전기차 전환에도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전기차 전환시 국내에서 3만5000여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안 후보는 이미 정년 연장과 4차 산업혁명 고용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캐스퍼를 시작으로 진행된 온라인 판매도 향후 다른 차종으로 확대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노조가 파업을 하거나 강경하게 대처할 경우 전기차 전환에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미국이 자국 내 전기차·배터리 생산을 촉구하는 상황서 오히려 생산기지가 해외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크다"며 "국내 전기차 공급·생산이 더욱 멀어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물량 배분 등을 두고)노노갈등도 심해지는 상황서 강성 노조의 입지는 좁아질 것"이라며 "노사가 적극 협상해 일자리 보장과 전기차 전환을 동시에 이루는 '윈윈'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촉구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