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 열차지상신호 국산화 성공...150억 수입대체 효과

머니투데이 김도현 기자 2021.11.29 09:20
글자크기
발리스전송모듈 장치(왼쪽)와 안테나 /사진=현대로템발리스전송모듈 장치(왼쪽)와 안테나 /사진=현대로템


현대로템이 수입에 의존하던 열차 지상신호 수신장치의 국산화 개발에 성공했다. 약 15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발생할 전망이다.



현대로템은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의 핵심부품인 '발리스전송모듈(BTM)'의 국산화 개발을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열차제어시스템은 열차의 운행 위치를 감지하고 열차간 간격을 제어해 충돌사고 방지 및 안전운행을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발리스전송모듈은 열차의 위치 및 제한속도 등 지상정보를 수신해주는 장치다.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한 주요 부품이다.

발리스전송모듈은 2003년 국내에 열차 간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열차방호 신호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전량 수입에 의존해 국산화가 절실했던 부품이다. 현대로템은 2017년부터 국산화 개발에 착수했다. 5년여의 기간을 거쳐 국내 최초로 독자 인증모델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현대로템이 개발한 발리스전송모듈은 해외 경쟁사 제품과 동등의 품질 및 성능을 갖췄다. 특히 영하 40도의 저온 테스트까지 마쳐 수입품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도 작동한다. 국산화 성공으로 안정적인 유지보수 시스템 구축과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현대로템에 따르면 오는 2027년까지 국내 차상신호장치 시장규모는 약 5000억원에 달한다. 발리스전송모듈의 국산화를 통해 약150억 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현대로템은 이달 국제철도안전평가 기관인 영국 Ricardo Certification으로부터 발리스전송모듈에 대한 안전무결성 기준 최고 등급인 'SIL 4'를 인증받아 신뢰성도 확보했다. 유럽연합(EU)의 철도 상호호환성 기술표준(TSI) 규격에도 만족하도록 설계해 발리스전송모듈의 유럽 수출도 기대해 볼 수 있게 됐다.

현대로템은 내년에 완료되는 180km 구간의 익산~여수엑스포 전라선 구간에 한국형 열차신호시스템 시범운용 사업을 시작으로 대구권 광역철도 전동차, KTX-이음, EMU-320 등 국내 프로젝트와 해외 신규 노선에 발리스전송모듈을 확대 적용해 글로벌 열차신호시스템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글로벌 철도신호시스템 분야는 알스톰·지멘스·히타치 등 소수 기업이 지배하고 있다"면서 "이번 열차신호시스템 국산화는 기술종속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에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이라 소개했다. 또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추가 수주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