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코스타리카와 '포괄적 동반자관계' 공동 선언

머니투데이 정진우 기자 2021.11.23 11:35
글자크기

[the300]

[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카를로스 알바라도 케사다 코스타리카 대통령이 23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주먹 인사하고 있다. 2021.11.23.[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카를로스 알바라도 케사다 코스타리카 대통령이 23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주먹 인사하고 있다. 2021.11.23.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국빈 방한 중인 카를로스 알바라도 케사다 코스타리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실질 협력 증진 방안, 한반도와 중남미 지역 정세 및 글로벌 현안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알바라도 대통령이 이날 오전 10시 청와대에서 환영식과 정상회담 등 국빈방한 공식 일정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코스타리카는 국제적으로 환경, 평화 논의를 선도하고 있고 우리나라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전통적인 우방국이란 평가가 많다. 2019년 11월 한-중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래 우리와 교역, 투자를 지속 확대해 온 핵심협력국이다.

두 정상은 정상회담에서 내년 양국 수교 60주년을 앞두고 그간의 양국 간 협력 성과를 평가한 후, 새로운 60년을 위해 양국 관계를 '행동지향적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 가기로 합의하고, 공동선언문을 채택해 분야별 협력을 구체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코스타리카는 미국, 스페인 및 멕시코 등 중남미 주요국과 '행동지향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지만,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우리나라와 '행동지향적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우리로선 내년 수교 60주년 및 코스타리카의 중남미 내 전략적 가치, 협력 잠재성 등을 감안해 양국 관계를 격상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두 정상은 포스트 코로나 경제 회복을 위해 디지털, 친환경 성장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하고, 우리의 '한국판 뉴딜' 정책과 코스타리카의 '디지털화, 탈탄소화, 지방분권화(Digitalization, Decarbonization, Decentralization, 3D) 경제 달성 정책'을 연계키로 했다.


구체적으로 △정부 서비스 디지털화 △디지털·친환경 인프라 확충 △폐기물 처리 △저공해차 보급 등에서 미래 성장을 위한 파트너십을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국빈 방한 중인 카를로스 알바라도 케사다 코스타리카 대통령이 23일 청와대 대정원에서 열리는 공식 환영식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1.11.23.[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국빈 방한 중인 카를로스 알바라도 케사다 코스타리카 대통령이 23일 청와대 대정원에서 열리는 공식 환영식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1.11.23.
문 대통령은 특히 코스타리카 정부가 추진 중인 디지털, 친환경 인프라 사업에 경험과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알바라도 대통령의 관심을 당부했다.

코스타리카는 지난 3월 3D경제(Digitalization, Decarbonization, Decentralization) 구축을 위한 '2020-2050 포용적·탈탄소화 경제를 위한 국토발전전략'을 발표하고, 이를 위해 2050년까지 153억 달러(GDP의 34.7%) 투자 계획을 밝혔다.

또 코스타리카의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활용해 공동연구를 강화하기로 하는 한편, 항공·우주산업 및 수소차, 수소연료전지 분야에서의 새로운 협력도 모색하기로 했다.

아울러 중미통합을 주도하고 있는 코스타리카와 중미통합체제(SICA),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 한-중미 FTA를 통한 우리나라의 대(對)중미 협력 강화 방안을 협의했다. 특히 양국 간 '삼각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내년 중미 북부 3개국에 대한 구체적인 삼각 협력 사업 실시 방안을 논의했다.

두 정상은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 달성 필요성에 대한 깊은 공감대를 바탕으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해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선도하자는 데 공감했다.

문 대통령은 알바라도 대통령에게 우리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와 협조를 당부했다. 알바라도 대통령은 이번 국빈방한 계기로 DMZ 방문 소회를 피력하고, 한국의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에 존경과 변함없는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청와대는 이번 회담이 중미 내 우리의 핵심 파트너인 코스타리카와 미래지향적 협력 확대를 위한 기반을 공고히 하고, 한미 정상회담(5월21일), 한-스페인 정상회담(6월16일) 및 한-SICA 정상회의(6월25일)에서 표명한 대 중남미 협력 확대 의지와 함께, 중남미지역으로 우리 외교 지평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한-코스타리카 정상회담 직후 두 정상 임석 하에 '과학기술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디지털 정부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환경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 '삼각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가 체결돼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 환경, 개발협력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증진의 토대를 마련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