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모빌리티, 킥보드 지고 자전거 뜬다…따릉이와 경쟁 승자는?

머니투데이 고석용 기자 2021.11.23 08:32
글자크기
전기 공유자전거인 카카오 T 바이크 시범운영/사진=뉴스1전기 공유자전거인 카카오 T 바이크 시범운영/사진=뉴스1


헬멧 의무화·주차규제 등으로 공유형 전동킥보드 시장이 주춤하면서 공유모빌리티 업계가 전기자전거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전기자전거는 전동킥보드와 달리 헬멧 미착용 과태료가 없고 무단주차 견인에서도 제외되는 등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판교, 송도, 부산, 대구, 대전 등 지방을 중심으로 공유형 전기자전거 사업을 운영하는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8월부터 서대문구, 강동구 등 서울로 서비스 지역을 넓혔다. 지난달에는 알톤스포츠와 92억원 규모의 전기자전거 추가 공급계약을 체결하면서 본격적인 사업 확장을 알렸다.



스타트업 나인투원(서비스명 일레클)도 서비스 지역을 넓혀가고 있다. 기존 전동킥보드보다 전기자전거 사업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나인투원은 올해에만 경기도 오산, 과천, 고양, 시흥, 창원, 안양, 의왕, 용인 등 10여개 수도권 지자체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했다. 나인투원 관계자는 "현재 운영대수는 6000여대로 지난해 말(2000대)보다 3배 가량 늘어났다"고 말했다.

새롭게 시장에 뛰어드는 업체도 등장하고 있다. 메리바이크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엔씨엠, 유니콘바이크를 운영하는 천일리테일 등은 올해 초부터 각각 서울 잠원·이태원·용산, 서대문구에서 공유형 전기자전거 서비스를 시작했다. 공유형 전동킥보드를 운영해온 피유엠피(서비스명 씽씽)도 9월 대구를 시작으로 전기자전거 서비스를 시작했다.



"전동킥보드 철퇴에…전기자전거 반사이익"
공유모빌리티, 킥보드 지고 자전거 뜬다…따릉이와 경쟁 승자는?
스타트업 업계는 공유형 전기자전거 시장의 성장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경쟁수단인 공유형 전동킥보드가 규제와 시민들의 민원으로 이용률이 줄어들고 있어서다. 실제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산하 퍼스널모빌리티산업협의회에 따르면 공유형 전동킥보드는 헬멧착용 의무화 이후 이용률이 최대 50%까지 감소했다. 올 7월부터 시행된 견인 규제로는 견인·보관 비용만 4억5500만원이 발생했다. 이에 외국계 업체가 한국 서비스를 철수하고 국내 업체들도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를 중단했다.

반면 페달을 밟으면 전기동력이 지원되는(PAS형) 전기자전거는 헬멧 미착용이나 견인 규제를 받지 않아 이용이 비교적 자유롭다. 여기에 비교적 부피가 크고 운전이 쉬워 킥보드보다 안전성도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동킥보드가 빠르게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했지만 운전이 어렵고 1~2km 이상을 이동하기도 적합하지 않아 전기자전거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킥보드 업체들이 규제로 타격을 받는 점도 현재 직간접적으로 시장 확장에 영향을 주는 모습"이라고 덧붙였다.


스타트업에 기회 열릴까…'따릉이·카카오' 공룡이 관건
다만 공유형 전기자전거 업계는 따릉이 등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자전거와 직접 경쟁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가격 측면에서 공공자전거보다 경쟁력이 떨어진다. 전기자전거 카카오T바이크를 1시간 이용할 경우 요금은 6000원으로 따릉이(1000원)의 6배에 달한다.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공룡 격인 '카카오'와 직접 경쟁해야 한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브랜드 밸류와 택시·대리운전·주차 등 이동수단을 모두 통합한 카카오T앱을 내세우며 전국에서 1만여대의 전기자전거를 서비스하고 있다.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와 1대1 경쟁이 쉽지 않을 것이란 게 업계의 우려다.

이와 관련 업계관계자는 "무동력 공공자전거에 비해 전기자전거는 언덕길이나 장거리에 더 편리하다"며 "이용지역, 패턴에 따라 공공자전거와 전기자전거가 공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상태고 카카오T바이크의 운영규모도 크지 않아 당장 직접 경쟁 등은 크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미디어 액셀러레이팅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