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 뒤 건축현장 올스톱"…요소수發 시멘트·레미콘 대란온다

머니투데이 이재윤 기자 2021.11.07 15:46
글자크기

중국영향 요소수 공급부족, 시멘트·레미콘 제조·유통 차질불가피 '진퇴양난'

서울의 한 아파트 건설현장 자료사진./사진=뉴스1서울의 한 아파트 건설현장 자료사진./사진=뉴스1


중국발(發) 요소수 품귀현상으로 시멘트·레미콘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요소수는 시멘트 제조과정에 필수 재료일 뿐만 아니라 건설현장에서 쓰이는 레미콘 믹스트럭도 요소수 품귀로 멈출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요소수 수급 차질이 장기화하면 주요 시멘트·레미콘 제조·유통이 무너지고 건설현장이 멈출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생산·판매 둘 다 어려워" 레미콘 업계 진퇴양난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시멘트·레미콘 업체들이 요소수 공급부족을 버틸 수 있는 기간은 최대 한 달 정도로 추산된다. 업체와 업종에 따라, 요소수 비축량에 따라 상황은 다르지만 다음 달 중순 정도면 공장을 멈출 수 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계절적 영향으로 건설현장이 비수기에 접어들지만 시멘트와 레미콘 공급이 중단되면 당장 차질이 불가피하다.



요소수 품귀현상으로 당장 시급한 건 레미콘 믹스트럭 발이 묶인다는 점이다. 경유 차량비중이 높은 레미콘 믹스트럭이 당장 운행을 못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다. 특히 레미콘은 시멘트와 각종 골재를 섞어 반제품 형태로 공급되는데, 만들고 90분 내로 배송을 해야하기 때문에 유통체계가 중요하다. 대형 레미콘 업체 관계자는 "레미콘 믹스트럭이 멈추면 공장은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레미콘 공장에 레미콘 차량들이 줄지어 서 있다./사진=뉴스1서울의 한 레미콘 공장에 레미콘 차량들이 줄지어 서 있다./사진=뉴스1
더 큰 문제는 요소수 부족으로 레미콘 제조 과정도 타격을 입는 다는 점이다. 레미콘 원재료인 시멘트나 골재 등을 운반해주는 덤프트럭 등이 운행을 못하게 되면 제조 자제를 할 수 없게 된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당장 내일이라도 생산이 멈출 수 있다"며 "공장에 따라 비축물량 상황은 다르겠지만 원재료 공급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고 토로했다.



레미콘 차량은 대다수가 개인 운송사업자(지입) 차량이라 요소수 수급에 나서기도 쉽지 않다. 유진기업 (3,420원 ▼10 -0.29%)삼표시멘트 (2,900원 ▲15 +0.52%) 등 주요 기업들이 요소수 수급에 발벗고 나서고 있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다. 특히 중소 레미콘 제조업체과 거래하는 운수업자는 사실상 포기 상태다. 믹스트럭 운수업자는 "대형 레미콘 회사랑 거래하는 곳은 그나마 괜찮은데, 작은 곳들은 이미 포기한 곳도 있다"고 말했다.

시멘트 재가동 6개월 걸려, 1개월 시한부 선고
요소수 공급부족으로 시멘트 제조·공급에도 차질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대규모로 시멘트를 실어나르는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BCT) 차량 운행이 멈추면서 공급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전체 시멘트 유통 물량의 60~70%는 육상으로 운송되는 데, 이 중 절반 가량은 BCT 등 대형 운반 차량을 통해 공급된다.

품귀현상이 이어지면 시멘트 제조공정도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요소수는 시멘트 소성(광물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데 공급부족에 시달리면서 공장을 멈춰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멘트 제조공정은 2019년 강화된 질소산화물 배출기준은 270ppm(mg/L) 정도다. 업체별로 비축량은 1개월 안팎이다.
시멘트 공장 자료사진./사진=뉴스1시멘트 공장 자료사진./사진=뉴스1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요소수를 사용해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100ppm정도로 맞추고 있다. 하지만 요소수를 구하지 못하면 환경기준을 벗어나게 되고, 공장을 멈춰야 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며 "중국 이외에 러시아 등으로 수급방안을 찾고 있지만 쉽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1000도(℃) 이상을 필요로하는 시멘트 공정은 한 번 멈추고 재가동 하려면 3~6개월 가량이 걸려 요소수 수급부족에 따른 후폭풍이 예상된다. 한국시멘트업계 관계자는 "요소수는 사실상 물 처럼 사용하던 물질이다. 사용하지 못하면 차질이 불가피하다. 기업의 정상적인 활동을 위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