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노태우 역사적 과오 적잖지만 성과도 있어...명복 빈다"

머니투데이 정진우 기자 2021.10.27 14:32
글자크기

[the300](종합)"유가족들에게 위로의 말씀 전한다"

(서울=뉴스1) 이광호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8.9/뉴스1  (서울=뉴스1) 이광호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8.9/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고 노태우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빈다는 메시지를 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노태우 전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 강제 진압과 12·12 군사쿠데타 등 역사적 과오가 적지 않지만 88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북방정책 추진, 남북기본합의서 채택 등 성과도 있었다며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했다"고 밝혔다.

노 전 대통령은 지난 26일 향년 89세 나이로 별세했다. 1932년생인 노 전 대통령은 천식 등 오랫동안 지병으로 꾸준히 병원 치료를 받아왔다. 최근에는 병세가 악화되면서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 입원했고 끝내 이날 숨을 거뒀다.



정부는 노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가장으로 치르기로 결정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을지국무회의에서 "정부는 이번 장례를 국가장으로 해 국민들과 함께 고인의 업적을 기리고 예우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가 마련돼 있다. 2021.10.27.[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가 마련돼 있다. 2021.10.27.
김 총리는 "고인께서는 제13대 대통령으로 재임하시면서 국가 발전에 많은 업적을 남기셨다"며 "국무위원들과 함께 노태우 전 대통령의 서거에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분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는 장례절차에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국가장 여부는 국무회의에서 긴급 논의 안건으로 상정돼 확정됐다. 국가장법 제2조에 따르면 국가장은 전·현직 대통령이나 국가 또는 사회에 현저한 공훈을 남긴 사람이 사망했을 때 행정안전부장관의 제청으로 국무회의 심의를 마친 후 대통령이 결정하도록 돼 있다.

청와대는 이날 오전부터 노 전 대통령의 장례 문제 논의를 진행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8일 유럽 순방으로 출국이 예정되어 있어 이날 김 총리 주재 국무회의 안건으로 올려 논의하는 방식으로 결정했다.

전직 대통령의 장례가 국가장으로 치러진 것은 2015년 김영삼 전 대통령 장례 뿐이었다. 박정희·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는 국장으로, 최규하·노무현 전 대통령 장례는 국민장으로 진행됐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