깐깐해진 기술특례상장…최대 수혜 '바이오기업'도 문턱 넘기 '쩔쩔'

머니투데이 정기종 기자 2021.10.27 10:34
글자크기

23개 중 절반인 11개사 바이오기업…예년 80%서 하락
"요구 자료 양과 질 상향 체감…엄격해진 기준에 부담 존재"

깐깐해진 기술특례상장…최대 수혜 '바이오기업'도 문턱 넘기 '쩔쩔'


올해부터 깐깐해진 기술특례상장 기준에도 여전한 바이오업종 강세 속 엄격해진 기준에 상장을 준비 기업이 느끼는 부담은 커졌다는 목소리가 늘고 있다. 올해도 기술특례상장 최대 수혜업종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80%에 달했던 비중 역시 예년에 비해 낮아진 모습이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기술특례기업 혜택을 받으며 코스닥에 상장한 23개사 가운데 11곳은 바이오기업이었다. 2월 뷰노를 시작으로 최근 차백신연구소까지 기술특례상장 기업의 절반 가량을 바이오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기술특례상장은 기업의 기술력을 외부 검증기관을 통해 심사한 뒤, 그 우수성이 입증되면 상장을 위한 수익지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도 상장기회를 주는 제도다. 이 같은 제도 특성은 오랜 개발기간과 막대한 비용이 요구되는 신약 개발 성공까지 별다른 매출 발생이 어려운 제약·바이오업종이 수혜받기 안성맞춤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실제로 바이오업종은 제도가 도입된 2005년 3월부터 2019년까지 기술특례상장 기업의 77%를 차지했고, 지난해 역시 25개 중 15개 기술특례상장사가 바이오기업이었다.

하지만 한국거래소가 올해부터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제도 평가항목을 기존 26개에서 35개로 늘리며 문턱이 한층 높아졌다. 기술 신뢰도를 보다 철저히 검증하겠다는 이유다. 특히 그 배경에 기술특례로 상장한 일부 바이오기업들이 결실을 맺지 못하고 부실기업으로 낙인 찍혔던 점이 적잖이 작용했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며 험난한 한해가 전망됐다. 기존 기술의 완성도와 확장성이나 생산 역량 정도만 따졌던 평가 요소에 투자현황과 기술 진행정도, 품질관리 등이 추가된 점도 바이오업계엔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이를 증명하듯 상반기 18개사가 기술성장기업(기술평가특례+성장성특례)으로 상장한 가운데 바이오기업은 6개사(뷰노 (28,850원 ▲400 +1.41%),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4,210원 ▲60 +1.45%), 네오이뮨텍, 바이오다인 (9,090원 ▼90 -0.98%), 라이프시맨틱스 (1,938원 ▼2 -0.10%), 진시스템 (6,680원 ▲50 +0.75%))로 3분의 1을 차지하는데 그쳤다. 하반기 큐라클 (19,710원 ▲1,070 +5.74%)을 시작으로 바이젠셀 (4,765원 ▲140 +3.03%), 에이비온 (7,210원 ▲90 +1.26%), 프롬바이오 (2,155원 ▲5 +0.23%), 차백신연구소 (4,930원 ▲10 +0.20%) 등이 잇따라 기술특례상장에 성공하며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렸지만 예년에 비해 다소 힘이 빠진 모습이다.

업계는 여전히 준수한 기술특례상장 비중에도 부담을 토로하고 있다. 표면적으론 비중의 소폭 감소 정도에 그칠 수 있지만, 업계가 체감하는 압박감은 적지 않다는 입장이다. 기술성 평가의 경우 재도전이 가능하지만, 기술성이 핵심이 바이오기업 입장에서 한번의 탈락은 기업 가치를 바라보는 시각을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기술성평가에서 한 차례 낙방한 일부 기업들이 재도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기존 우호적인 시선이 회의적으로 변한 것을 체감했다는 설명이다.

상장을 준비 중인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상장특례기업 수가 줄어든 것은 물론, 바이오업종으로 분류되지만 기술성 평가에 유리한 요소로 작용하는 근본 가치인 신약개발과는 거리가 먼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는 기업도 적지 않아 단순 수치만으로 타격이 없다고 보긴 어렵다"라며 "심사 시 요구하는 자료의 양이나 질이 상향돼 기술특례상장이 까다로워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