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적으로 가상인간 시장이 커지면서 관련 스타트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가상인간 스타트업에 수백억원의 뭉칫돈이 몰리는 등 '제2 브러드' 찾기에 분주한 모습이다. 비대면 산업 성장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가상인간 시장의 성장 가능성도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딥브레인AI는 최근 5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2016년 7월에 설립된 딥브레인AI는 딥러닝 기반 영상·음성합성기술을 활용해 '대화형 AI 휴먼'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2019년초 문재인 대통령을 AI로 합성해 선보이며 미국, 중국에 이어 3번째로 '대화형 AI 휴먼' 상용화에 성공했다.
딥브레인AI에 초기 투자한 김재홍 KB인베스트먼트 상무는 "딥브레인AI가 자체 개발해 서비스중인 AI 기술들은 대부분 고성장 콘텐츠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이미 2019년 20억원의 매출 성과를 보이는 등 성장성이 높은 기업이었다"면서 "무엇보다 전기전자공학, 뇌과학, AI분야 전문가 등 우수한 인력들이 확보돼 있어 매력적이었다"고 투자 배경을 설명했다.
가상얼굴 전문 스타트업 디오비스튜디오는 떠오르는 샛별이다. 얼굴만 가상으로 합성해 만든 '루이'는 한국관광공사 명예홍보대사와 의자전문기업 파트라의 브랜드 모델로 발탁되면서 유명해졌다. 최근엔 시각특수효과( VFX) 전문기업 덱스터스튜디오로부터 10억원의 전략적 투자를 받았다. 메타버스의 원천기술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캐릭터와 콘텐츠를 제작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밖에 게임사 넵튠 (13,950원 ▼550 -3.79%)이 지난해 11월 가상인간 '수아'의 제작사 온마인드를 15억원에 인수한데 이어 올 8월에는 디지털 아이돌을 키우는 딥스튜디오와 펄스나인에 투자했다. AI로 사람의 목소리를 구현하는 라이언로켓은 지난해 키움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10억원 규모의 프리시리즈A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구중회 LB인베스트먼트 전무이사는 "투자자들은 딥테크, 하이테크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주목한다"면서 "최근 가상인간 관련 기업들이 이러한 기술들을 보유하고 있고, 메타버스와 다양한 산업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가능성이 높아 투자업계도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미디어 액셀러레이팅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