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술로 UAE에 맞춤형 수소충전소, 조만간 현실화"

머니투데이 고양(경기)=구단비 기자 2021.10.07 16:37
글자크기

[2021 그린뉴딜엑스포]

조원정 한국가스기술공사 책임이 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1 그린뉴딜 엑스포' 콘퍼런스에서 '해외수소 기반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 기술 개발'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올해 3회째를 맞는 국회 수소경제포럼 주최 머니투데이 주관 '2021 그린뉴딜 엑스포'는 6~8일까지 고양 킨텍스에서 진행되며 수소산업과 전기차산업, 신재생에너지, 저탄소 친환경 등 그린뉴딜을 망라하는 대표 기업들이 대거 참가한다.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조원정 한국가스기술공사 책임이 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1 그린뉴딜 엑스포' 콘퍼런스에서 '해외수소 기반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 기술 개발'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올해 3회째를 맞는 국회 수소경제포럼 주최 머니투데이 주관 '2021 그린뉴딜 엑스포'는 6~8일까지 고양 킨텍스에서 진행되며 수소산업과 전기차산업, 신재생에너지, 저탄소 친환경 등 그린뉴딜을 망라하는 대표 기업들이 대거 참가한다.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만약 한국가스기술공사가 한국에서 수전해 방식을 개발해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한다면 국내 최초의 사례가 될 수 있을 겁니다."

조원정 한국가스기술공사 책임연구원은 7일 오후 2시50분쯤 경기도 고양 킨텍스 1전시관에서 열린 '2021 그린뉴딜 엑스포' 콘퍼런스에서 '해외 수소기반 대중교통 인프라 기술개발 소개'를 통해 기대감을 표했다.



조 연구원은 "수전해 방식으로 시간당 35㎏ 이상 수소생산 버스 2대 동시 및 연속 2회 충전이 가능하고 하루 1000㎏ 이상 충전 가능한 수소 인프라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해 수소 대중교통 시스템의 해외 진출 토대를 마련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은 전력 공급부터 수소 생산, 충전까지의 기술을 국내에서 개발해 실증하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1단계와 이후 해외현지 환경에 맞춘 버스차고지형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는 2단계로 나눠 4년간 진행한다.



조 연구원은 "현재 국내 수소기반 대중교통 인프라는 지자체 공모를 통해 대전광역시가 선정돼 대전역과 오송역을 오가는 버스를 개조해 실증할 계획"이라며 "적절한 부지와 지자체의 수소산업에 대한 유치 의지 등을 파악해 선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고 현재 토목공사가 진행 중"이라고 했다.

이어 해외 현지 사업 현황에 대해선 "UAE에서도 관심을 갖고 있는 마스다르(Masdar)사,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 아부다비 지방자치·교통부(Department of Municipalities and Transport, DMT) 등과 영상회의를 진행하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가장 관심있게 사업을 지켜보고 협력하고 있는 DMT와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UAE의 수도인 아부다비를 첫번째 해외 사업 목표로 삼아 확장할 계획도 설명했다. 오는 2023년까지 국내에서 생산 및 실증이 완료된 기술을 갖고 해외 실증에 나선다는 것이다. 조 연구원은 "해외 실증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인근 중동 국가인 탄소제로 신도시를 추진하는 사우디아라비아와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오만과의 사업도 추진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