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올해 개최?…靑 "文임기내 목표 아니다"

머니투데이 정진우 기자 2021.09.29 15:19
글자크기

[the300](종합)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09.28.[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09.28.


청와대가 29일 정치권 안팎에서 올해 안에 '4차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전망에 대해 "문재인 정부는 임기 내에 정상회담을 한다거나, 무엇을 한다는 그런 목표를 정치적으로 설정해놓지 않았다"고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 가진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부에서 설사 남북 정상회담에 이르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다음 정부가 이어받아서 하면 되고, 문재인 정부는 임기 마지막까지 그러한 토대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뿐이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수석은 "징검다리를 남과 북이 협의하고 합의하면서 정말 조심스럽게 하나씩 하나씩 놓아가다 보면 저 평화라고 하는 강 너머에 도달할 수 있다는 그런 신중한 생각을 갖고 있다"며 "하나하나 조심스럽게 가고 있는 것뿐이지 어떤 것을 예단하거나 목표로 세워놓고 가고 있지 않다는 말씀을 다시 한 번 드린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은 또 북한이 지난 28일 극초음속미사일 화성-8형을 동해상으로 시험 발사한 것과 관련해 '적대시 정책'을 철회하라는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의 유엔총회 연설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의도가 반영됐다는 해석을 내놨다.



박 수석은 "모든 것들을 다 가능성을 열어두고 중의적으로 현재는 봐야 하고 분석 끝난 후에야 정확한 의도를 알 수 있지 않겠냐"며 "어제 미사일 발사하고 바로 20분 후에 김 대사가 미국이 말이 아닌 실천과 행동으로 적대적 의사가 없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는 이야기를 한 것을 보면, 결과적으로 미사일 발사와 북한대사의 발언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상식적으로 해석할 수 있지 않겠나"고 말했다.

앞서 김 대사는 지난 27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미국 행정부는 북한에 적대심이 없다는 명시적인 정책 기준을 실질적인 행동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북한에 대한 이중 기준을 제거해야 한다. 만약 미국이 적대 정책을 포기하는 과감한 결정을 보여준다면 우리는 언제든지 기꺼이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5일 청와대 브리핑룸에서 인사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1.08.05.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5일 청와대 브리핑룸에서 인사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1.08.05. *재판매 및 DB 금지
박 수석은 "미사일 발사 의도를 김 대사가 해석했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라며 "또 하나는 실제로 제원 분석해봐야 알겠지만, (북한)자신들이 전혀 새로운 미사일이라고 한다면 자신들의 무력개발 계획에 따라서 한 것이라고 주장할 것이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 앞에 있는 (김여정 부부장 등의) 담화에서 '이중잣대' 등 포석을 깔아놓은 것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것도 예단할 수 없다. 중의적 뜻을 가지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통해서 북한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라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 24~25일 이어진 리태성 북한 외무성 부상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를 예로 들며 "북한이 하는 것은 대미, 대남 메시지가 긴밀하게 서로 다 포함돼 있다고 중의적으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북미 간에 있는 비핵화 협상, 남북 간에 있는 관계개선이라는 '투 트랙'이지만 따로 떨어진 게 아니라 밀접하게 연관되어서 함수관계를 형성하면서 동전 앞뒷면처럼 되어있는 것이다. 함의를 단답형식으로 오엑스(OX)식으로 불 수 있는 게 아니라 신중히 봐야한다" 거듭 말했다.

한편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전날 'KBS 라디오- 주진우 라이브'와 가진 인터뷰에서 오는 11월 또는 12월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예상했다. 정 전 장관은 "김여정 부부장이 남북 정부가 정상회담을 바라고 있다는 것을 알아채고 자기 입으로 얘기를 꺼내놨는데 웬만하면 된다"며 "준비 잘하면 아마 11월이나 늦어도 12월 중에 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정 전 장관은 또 북한의 '적대시 정책' 철회 요구에 대한 한국·북한·미국 간 입장 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코로나19 백신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정 전 장관은 "우리가 서둘러 미국을 설득해 북한한테 백신 좀 주라고 해야한다"며 "이런 식으로 하면 적대시 정책 철회 요구는 슬그머니 사라지고 미국과 바로 만나서 핵문제 협상을 시작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했다. 정 전 장관은 북한이 필요로 하는 백신 물량은 3000만회분일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