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리스크' 커지나…현대제철·포스코 떨고 있다

머니투데이 김도현 기자 2021.09.24 07:00
글자크기
철강철강


주요 철강사의 노조 리스크가 심화 될 조짐이다. 현대제철은 비정규직지회가 당진제철소를 불법으로 점거한 가운데 임단협 협상도 난항을 겪고 있다. 포스코(POSCO (391,500원 ▼3,500 -0.89%))에서도 '노노(勞勞)갈등' 확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현대제철 비정규직지회의 불법점거가 23일 한 달을 맞았다. 사내 협력업체 직원들로 구성된 비정규직지회는 현대제철 정직원 수준의 처우와 자회사를 통한 간접고용이 아닌 직고용을 요구하며 지난달 23일 당진제철소 통제센터를 무단으로 점거했다.



통제센터는 제철소 전체 생산·안전 등을 제어하고 관제하는 핵심 설비다. 회사 관계자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라면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기존 안전센터 근무직들은 임시시설에서 원격으로 업무를 보고 있으며, 불법점거에 나선 비정규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사무직 근로자들까지 생산현장에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현대제철의 고심은 또 있다. 국내 주요 철강사 중 유일하게 금년도 임단협을 체결치 못한 상태다. 지난 7월 노사는 △통상시급 32.7% 인상 △4조 2교대 전환 등이 골자인 합의안을 도출한 바 있다. 합의안은 노조 투표에서 부결됐다. 69.57%가 반대표를 던졌기 때문이다.



노조와 협상은 해를 거듭할수록 어려워진다. 지난해 현대제철 임단협은 해를 넘겨 올해 4월에야 체결됐다. 올해도 연말께나 가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협상 지체는 이견 확대를 의미하며, 이는 철강사엔 치명적인 파업 가능성 확대를 의미한다.

진통 없이 임단협을 마무리한 포스코에서도 잠재적인 노조 리스크가 부상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6일 포스코는 올해 기본급 2.5%(약 7만3150원) 인상안 등이 담긴 잠정합의안이 통과됐다. 잡음은 이 과정에서 촉발됐다. 실적대비 인상률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지적이 회사 내부에서 대두되면서 교섭권을 보유한 한국노총 포스코노조를 향한 비판이 제기됐다.

포스코에는 두 노조가 활동하고 있다. 2018년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와 포스코노조가 연이어 설립됐다. 포스코노조 규모는 6500명 정도다. 포스코지회 가입자 수는 3300여명이지만 회사에 노조비용 원천징수를 요청한 '체크오프' 인원은 600여명 수준이다.


포스코지회가 설립 초기부터 회사와 반목을 이어온 것과 달리 포스코노조는 회사와 우호적인 관계를 이어왔다. 이번 임단협 잠정안에 대한 불만은 포스코지회와 비(非)노조 가입자를 중심으로 제기됐다. 포스코노조 내부에서도 일부 불만이 표출됐다는 후문이다. 지난해 임금동결이 포함된 임단협 합의안의 찬성비율은 93.44%였으나, 올해 찬성률은 70.33%로 떨어졌다.

포스코지회는 이번 사내 반발심리를 세력확대로 이어갈 요량이다. 포스코 안팎에서는 이 같음 움직임이 즉각적인 교섭권 확보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다'고 점치면서도, 포스코와 갈등관계인 포스코지회 사내 영향력 확대가 회사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해석했다.

한편 포스코지회 관계자는 "임단협 잠정안 발표 이후부터 이번 추석 연휴 직전까지 매일 수명에서 십 수명이 가입신청서를 제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