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CT의 광화문 성지, 3년간 '쉼'…40년 된 KT사옥 재정비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2021.09.15 05:34
글자크기

체신부·정통부·방통위도 머무른 'ICT 중심지'
2500평 땅값, 개발제한에도 공시가 4600억원

서울 종로구 KT광화문 사옥. 2017.10.19/사진제공=뉴스1  서울 종로구 KT광화문 사옥. 2017.10.19/사진제공=뉴스1


'세종로 100번지' KT 광화문 웨스트 사옥(서관)이 리모델링으로 잠시 휴지기를 갖는다. KT (34,100원 ▼550 -1.59%)는 지난 이 공간에 있던 각 사업부문을 송파·분당·수서 사옥 등으로 이전하는 작업을 지난 13일 완료했다. 과거 체신부로부터 민영화된 KT까지, 쉼 없이 대한민국 ICT(정보통신기술) 역사를 써 왔던 장소였던 만큼 약 40년 만의 공백은 KT는 물론 통신업계에도 다소 낯선 모습이다.

국가기록원과 KT 등에 따르면, 광화문 한복판이 한국 통신 역사의 중심이 된 건 약 8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제강점기 막바지인 1944년 경성중앙전신국이 지금의 세종로 100번지에 자리잡았고, 해방 후 서울중앙전신국으로 이어졌다. 1980년대 들어 기존 건물을 철거한 후 '국제통신센터' 건물이 건립됐는데, 이것이 지금의 KT 광화문 서관이 됐다.



40년 가까이 이 자리의 터줏대감은 KT였지만, 대부분의 기간은 모셔야 할 '동거인'과 함께였다. 전두환 정권 당시 과거 체신부의 전화사업을 공사로 분리, '한국통신공사'를 만들면서 건물 대부분의 소유권을 이전 받았지만 여전히 주무 부처인 체신부가 이 건물에 머물렀다.

1994년 체신부 기능을 흡수해 출범한 정보통신부가 신문로 세안빌딩으로 옮겼지만, 3년 후 이내 다시 세종로 100번지로 돌아왔다. 2008년 MB정권 출범과 함께 정통부는 기능이 쪼개지며 해체됐지만, 통신 산업 주무부처가 된 방송통신위원회가 광화문에 5년 더 머물렀다.



이 같은 선후관계에도 일각에선 주무부처인 방통위가 피규제 대상 기업인 KT 건물에 '얹혀 산다'고 비판했다. 더욱이 KT가 공기업일 때는 몰라도, 민영화 이후에는 곱지 않은 시선이 더욱 짙어졌다.

결국 세종청사 건립과 함께 정부 부처의 재배치와 맞물려 2013년 3월 방통위는 KT 광화문 서관 사옥에서 현판을 내리고 과천청사로 이전했다.' ICT 정책의 메카'로서 광화문의 역사가 마무리된 장면이다.

이 기간 동안 세종로 100번지의 가치도 수직상승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KT 광화문 웨스트 사옥의 1996년 당시 개별공시지가는 ㎡당 1550만원이었는데 25년이 지나 올해 기준으로는 5490만원으로 약 3.5배가 됐다.


특히 광화문 사옥의 대지면적 8349㎡(2530평)를 고려하면 공시지가로만 약 4600억원에 달한다. 광화문 역사문화지구에 포함돼 새로운 개발이 제한됨에도 매겨진 가격이다. 서울시와 대한항공이 보상가격으로 5000억원 안팎을 얘기했던 인근의 '송현동 부지' 면적이 3만6642㎡였던 것과 비교된다.

한편 KT는 오는 2024년을 목표로 웨스트 사옥의 리모델링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설계를 맡은 희림건축은 홈페이지에서 "대한민국 역사의 중심인 광화문광장에 있는 건물"이라며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넥스트 플랫폼(Next platform)이라는 컨셉으로 리모델링 설계를 진행했으며, 역사 도심 속 전통성을 살린 한국적 디자인의 경관 요소와 투명한 상징성을 나타내는 외관 디자인을 구현했다"고 소개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