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특혜" 제동 걸린 날…네이버·카카오 시총 13조 날아갔다

머니투데이 김평화 기자, 김세관 기자, 이용안 기자, 박광범 기자 2021.09.09 08:00
글자크기
외국인, 카카오·네이버 6600억 팔았다…하루만에 시총 13조 사라져
(성남=뉴스1) 민경석 기자 =  '검색 포털'로 몸집을 키워온 네이버가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클라우드 등 신사업에서 괄목할 성과를 내며 지난 2분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네이버는 2021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1조66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4% 증가했다고 22일 공시했다. 전 사업 부문의 실적호조에 따른 사상 최대 실적으로, 분기 매출 성장률은 5분기 연속 증가했다.  22일 경기도 성남시 네이버 본사 그린팩토리 로비에서 직원들이 오가고 있다. 2021.7.22/뉴스1  (성남=뉴스1) 민경석 기자 = '검색 포털'로 몸집을 키워온 네이버가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클라우드 등 신사업에서 괄목할 성과를 내며 지난 2분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네이버는 2021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1조66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4% 증가했다고 22일 공시했다. 전 사업 부문의 실적호조에 따른 사상 최대 실적으로, 분기 매출 성장률은 5분기 연속 증가했다. 22일 경기도 성남시 네이버 본사 그린팩토리 로비에서 직원들이 오가고 있다. 2021.7.22/뉴스1


국내 2대 인터넷 플랫폼인 네이버(NAVER (187,100원 ▼2,200 -1.16%))와 카카오 (54,400원 ▼400 -0.73%) 주가가 8일 폭락했다. 두 회사 시가총액이 하루에 13조원 사라졌다.



금융당국과 여권이 빅테크(대형 인터넷 기업)의 사업 확장에 급제동을 걸면서 외국인이 두 회사 주식을 대거 팔아치웠다.

카카오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10.06% 하락한 13만8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네이버는 7.87% 내린 40만9500원으로 마감했다.



카카오는 외국인이 4303억원, 기관이 1945억원 각각 순매도했다. 이 물량은 개인투자자(6233억원)이 받아냈다. 네이버 역시 외국인이 2270억원, 기관이 1204억원치 순매도했다. 개인은 3508억원 순매수했다.

외국인 순매도 1, 2위가 카카오와 네이버였다. 이날만 두 회사 시가총액이 13조원 가까이 증발했다. 네이버 시가총액은 약 6조원 줄어든 67조2700억원, 카카오 시가총액은 7조원 가까이 줄어 61조5900억원으로 떨어졌다. 카카오는 시총 4위 자리를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내줬다.

여당과 금융당국이 인터넷 플랫폼에 대한 강력한 규제 움직임을 보이자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이 두 종목을 처분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전날 '제5차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상황 점검반 회의'를 열고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법 적용 검토 결과를 공개했다.

당국은 핀테크 업체가 소비자에게 금융상품을 소개하는 영업 행위의 대부분을 '광고'가 아니라 '중개'로 봐야 한다고 해석했다. 금소법 계도 기간이 이달 24일로 종료되기 때문에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뱅크샐러드 등은 문제의 소지가 있는 서비스를 대폭 수정하거나 일시 중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당국 지침에 따르면 금융 플랫폼 첫 화면에서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위는 미등록 중개로 간주된다. 핀테크의 대표 서비스인 금융상품비교·추천도 어려워진다. 'OOO가 추천하는 인기 보험', 'OOO를 위한 신용카드' 같은 문구로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행위도 중개라는 해석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다른 회사 금융상품을 모아서 단순 비교해주고 해당 금융사 홈페이지로 이동해 직접 가입하도록 하는 것은 금소법상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지난해 자동차보험 비교 서비스를 준비하다 중단했다. 광고냐 중개냐 논란이 불거지면서다.

여권에서도 인터넷플랫폼을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송갑석·이동주 민주당 의원은 이날 '118개 계열사를 거느린 공룡 카카오의 문어발 확장-플랫폼 대기업의 불공정거래 근절 및 골목상권 생태계 보호 대책 토론회'를 열었다.

송 의원은 "혁신과 성장의 상징이었던 카카오가 소상공인에게 높은 수수료를, 국민에게는 비싼 이용료를 청구하며 이익만 극대화하는 '탐욕과 구태'의 상징으로 전락했다"며 "이번 국정감사에서 카카오의 무자비 한 사업확장의 문제를 강력히 지적하고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상생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상장 한달 앞두고 '날벼락', 카카오페이 "IPO일정 그대로"
"빅테크 특혜" 제동 걸린 날…네이버·카카오 시총 13조 날아갔다
금융당국의 규제 칼날이 빅테크를 향하면서 오늘 10월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인 카카오페이에 비상이 걸렸다. 카카오페이가 '광고'라며 영위했던 금융상품 추천·비교 서비스를 금융당국이 '중개'로 판단해 서비스가 일부 중단될 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 해당 서비스는 카카오페이의 핵심 수익원으로 증권업계에서는 증권신고서를 수정해야 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카카오페이의 상장 일정까지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8일 금융·증권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는 10월 14일을 목표로 IPO를 준비 중이다. 9월 29~30일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거쳐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10월 5~6일 일반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증권·투자업계에서는 공모 희망가가 기존 6만3000~9만6000원에서 6만~9만원으로 조정됐지만 카카오페이를 여전히 남아 있는 IPO 예정 기업 중 유망 대어로 여기는 분위기였다.

같은 카카오그룹 계열사이자 비교 대상이었던 카카오뱅크가 기대이상의 성적을 내는 등 증권신고서 정정으로 상장 일정이 미뤄졌음에도 좋은 흐름을 타고 있었다.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적정 시총은 16조6192억원에서 17조7968억원으로 오히려 높아졌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7월 발간 리포트에서 카카오페이 기업가치를 21조9000억원으로 보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7일 금융당국이 오늘 25일부터 온라인 플랫폼에서 이용자에게 펀드, 연금, 보험 등 금융사 상품을 비교·추천하면 안 된다는 결정을 내리면서 상장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금융상품 소개는 카카오페이 등과 같은 빅테크의 핵심 수익원이다. 송금과 간편결제를 대표 서비스로 내세우고 있지만 이 서비스는 다른 금융사에 수수료를 줘야 하고 고객 유입을 위한 마케팅도 해야 해 적자를 감수해야 한다. 이렇게 끌어모은 가입자들에게 금융상품을 추천·비교하고 받는 수수료가 주 수익원 역할을 한다.

금융당국의 빅테크 규제 시사 여파가 이날 증시를 덮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금융당국 정책 결정이 금융 계열사를 표방한 자회사들의 실적과 성장동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시가총액은 8일 하루만 13조원 가까이 증발했다.

증권업계에서는 카카오페이의 증권신고서가 다시 수정돼야 할 것으로 본다. 나승두 SK연구원은 "오래 걸리진 않겠지만 증권신고서 수정을 한 번쯤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정정된 공모가 등이 보수적으로 책정돼 표현 부분에대한 재작성이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상장 일정이 또 미뤄지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한다.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카카오페이와 금융당국 간의 입장차가 얼마나 좁혀질 수 있을 지가 상장 일정에 가장 큰 핵심 요소로 보인다"며 "6월에 거래소로부터 예비심사 통과를 받아서 올해 안에 상장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점을 카카오페이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이미 라이선스를 획득한 자회사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업 구조가 바뀌는 건 없다"며 "상장 일정도 큰 차질 없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 주문에...손보사 빅테크 플랫폼서 車보험 뺀다?
금감원 사옥금감원 사옥
금융감독원이 빅테크(IT대기업)를 통한 보험 상품 비교 서비스 관리감독 강화를 손해보험업계에 주문했다. 지난 7일 금융당국이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 토스 등 온라인 플랫폼이 제공하는 금융상품 소개 서비스 중 일부가 금융소비자보호법(이하 금소법) 상 위법 소지가 있다는 결정을 한 것과 궤를 같이 한다. 손보사들은 관련 서비스 제휴 철회 등을 검토중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주요 상위 보험사들의 자동차보험과 마케팅 담당자들을 불러 빅테크의 보험 비교 견적 서비스가 보험업법 상 모집행위로 볼 수 있다며 관리·감독을 강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금감원은 특히 빅테크의 자동차 보험 비교 서비스를 지목했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빅테크 중 자동차 보험 비교 서비스를 하는 곳은 카카오페이가 유일하다. 차량 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제휴를 맺은 손보사 상품을 소개하는 방식이다. 전체 상품이 아닌 제휴를 맺은 특정 보험 상품만 비교 서비스를 하려면 보험대리점(GA) 등 자격을 얻어야 하는데 전자금융업자인 카카오페이 등은 현행 보험업법 체제에서 GA가 될 수 없다.

금융당국은 당초 이 같은 온라인 플랫폼 보험 상품 비교 서비스가 손보사 간 경쟁을 촉진해 가격 인하 등 소비자 편익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했다. 그러나 지난해 네이버파이낸셜이 준비했던 자동차 보험 비교 서비스가 11%의 과도한 수수료 책정으로 논란이 됐다. 높은 수수료는 결국 상품 가격에 전가돼 소비자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이는 금융당국이 이 같은 온라인 플랫폼의 보험 비교 서비스는 광고가 아닌 중개행위라고 못 박는 하나의 계기가 됐다.

네이버파이낸셜이 서비스 출시를 접은 것과 달리 카카오페이는 보험대리점(GA) 자회사인 'KP보험서비스'를 중간에 두고 보험 상품을 비교할 수 있는 서비스를 펼쳐 왔다. 금감원은 이 역시 광고가 아닌 중개 모집 행위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손보사들에 환기시킨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소법과 관련한 당국 결정과는 별개로 빅테크의 보험 비교 서비스가 보험업법을 자체를 위반할 소지가 있어 감독업무를 하는 입장에서 방치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페이를 통해 자동차 보험을 판매 중이던 손보사들도 대처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일부 손보사들은 제휴를 끊는 것도 고려한다.

카카오페이는 자사의 보험 비교 서비스가 제도적 요건을 갖추고 있어 문제 없다는 입장이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카카오페이 앱에서 보험 비교 절차를 진행한 후 보험 소개는 자격을 갖춘 GA자회사 'KP보험서비스' 페이지에서 진행된다"며 "보험 가입을 위해 넘어가는 사이트가 GA자회사사 페이지인지, 카카오페이의 페이지인지 여부가 불명확한 점은 개선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