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관계자는 "면역관문 단백질인 'BTN1A1'을 타겟으로 하는 항체 'hSTC810'에 대한 모든 안전성 시험에서 이상징후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최종결과를 얻었다"며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영장류 시험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에스티큐브는 이번 영장류 독성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미국 FDA에 IND를 제출하고 내년초에 글로벌 임상 1/2a상에 돌입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임상을 통해 'hSTC810'의 혁신 신약(First-In-Class) 가능성을 검증하고 향후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 개발 및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임상에 사용할 항체 생산은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진행 중이며 생산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에스티큐브가 개발 중인 'hSTC810'은 자체 스크리닝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면역관문억제제다. 에스티큐브가 세계 최초로 발견한 'BTN1A1'을 타겟으로 하는 물질로 지난 4월 개최된 미국암학회(AACR)를 통해 연구 결과가 최초로 공개된 바 있다.
'BTN1A1'은 면역세포인 T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T세포로 인한 종양세포의 사멸효과를 저해시키는 면역관문 단백질이다. 기존 면역관문억제제 타겟인 'PD-1', 'PD-L1'과 전혀 다른 새로운 면역관문억제제로 정상 조직세포에서 발현이 제한적인 반면 여러 암세포에서 최대 80%까지 발현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에스티큐브는 미국의 권위있는 바이오/헬스케어 전문매체인 파마테크 아웃룩(Phama Tech Outlook)이 선정하는 '2021년 글로벌 면역항암제 연구부문 톱 10'에 한국 기업 최초로 선정돼 면역항암제에 대한 우수한 연구성과를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