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M그룹이 새롭게 참여자로 나서면서 당초 카디널원모터스와 에디슨모터스의 2파전이 예상됐던 쌍용차 인수전 분위기도 달라질 전망이다. 전반적으로 3파전 흐름이 진행되면서도 자금력에서 우월하다고 평가 받는 SM그룹이 우위를 점할 것이란 관측이 높다.
인수시 시너지 효과도 충분히 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계열사인 SM남선알미늄은 범퍼 등 자동차 부품을 제조, 납품하는 회사다. 강판 제작이 주력인 SM스틸 역시 완성차 생산과 연관성이 상당하다. 지난해 인수한 SM화진은 표면처리 기술을 활용한 자동차 내장재를 생산하는 업체다.
SM그룹은 2010년에도 쌍용차 인수를 타진했지만 인도 마힌드라에 밀려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 만큼 쌍용차에 대한 관심도나 인수의지가 강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연매출 5조원 수준에 자금력 준수…SM상선 IPO 통한 인수자금 조달 가능성도 인수 성사의 가장 핵심인 자금력 역시 LOI를 제출한 기업들 중 가장 높게 평가 받는다. 지난해 그룹 전체 매출은 5조원 수준에 달한다. 특히 SM상선의 경우 높아진 해운 물동량 및 운임 등을 바탕으로 지난해 창사 최대 실적인 140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연간 실적과 비슷한 1332억원을 거뒀다.
SM상선은 올 하반기를 목표로 IPO(기업공개)를 준비 중이다. 최근 해운업 상승세를 감안하면 상장시 SM상선의 기업가치가 최소 3조원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쌍용차 인수 결정시 IPO로 조달된 자금을 인수자금으로 돌릴 수 있어 유동성 문제는 전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쌍용차는 LOI를 제출한 기업들 중 심사를 통과한 후보를 대상으로 다음달 2일부터 27일까지 예비실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후보들로부터 인수제안서를 받은 후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본격적인 인수계약 절차를 밟는다. 우선협상대상자가 9월 말 선정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9월1일로 예정된 회생계획안 제출 역시 그 이후로 다시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LOI 제출 마감과 관련해 쌍용차는 "LOI를 제출한 다수의 회사가 전기차 사업을 확대할 목적으로 인수 의향을 밝히고 있어 현재 추진하는 친환경차 전환 전략과 부합된다"며 "M&A 가능성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생존 토대 구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