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쌍용차 협력업체들 살리려면..."글로벌 생태계 들어가야"

머니투데이 세종=안재용 기자 2021.06.22 16:18
글자크기
(평택=뉴스1) 김영운 기자 = 기업 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자동차의 자구안이 과반 찬성으로 통과된 8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쌍용자동차 평택공장에 직원들이 출근을 하고 있다. 앞서 쌍용차는 기술직 50%, 사무직 30% 인원에 대해 무급휴직을 시행하는 내용의 자구안을 만들고 1년 시행 후 차량 판매 상황을 고려해 1년 더 무급 휴직을 연장할 수 있도록 했으며, 지난 2019년 합의한 임금 삭감과 복리 후생 중단 기간도 2023년 6월까지 2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 2021.6.8/뉴스1  (평택=뉴스1) 김영운 기자 = 기업 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자동차의 자구안이 과반 찬성으로 통과된 8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쌍용자동차 평택공장에 직원들이 출근을 하고 있다. 앞서 쌍용차는 기술직 50%, 사무직 30% 인원에 대해 무급휴직을 시행하는 내용의 자구안을 만들고 1년 시행 후 차량 판매 상황을 고려해 1년 더 무급 휴직을 연장할 수 있도록 했으며, 지난 2019년 합의한 임금 삭감과 복리 후생 중단 기간도 2023년 6월까지 2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 2021.6.8/뉴스1


쌍용자동차의 경영위기로 덩달아 생존의 기로에 선 협력업체들을 살리려면 정부가 자금·기술 지원을 통해 이 업체들의 체질 개선을 유도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쌍용차 등 특정 대기업에 의존한 사업구조를 버리고 글로벌 밸류체인에 합류해 독자생존이 가능하도록 탈바꿈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경기도·신용보증기금(이하 신보)과 업무협약을 맺고 쌍용차 협력업체 유동성 지원을 위해 250억원을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쌍용차 협력업체가 많은 경기도가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확보한 예산 50억원을 출연해 마련된 자금이다. 현재 정부는 이를 포함해 2조원 이상의 유동성을 쌍용차 부품·협력업체들에게 지원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 협력업체는 1차 밴더 250여개사, 2차 밴더 1090여개사 등으로 구성돼 있다. 쌍용차 노조는 이와 관련된 고용인원이 20만명에 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쌍용차가 직접고용하는 4900여명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고용이 협력업체를 통해 창출되는 상황이다.

정부와 산업은행 등 관련기관들이 쌍용차와 협력업체를 살리기 위해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나,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부품업계 생태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향후 쌍용차의 생환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새 먹거리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 IT(전자통신)화가 진행되며 기술 대전환이 일어나고 있어 (쌍용차가) 살리기 어려운 기업이 돼 가고 있다"며 "정부가 민간에 과도하게 손을 대는게 옳은 방향은 아니지만 일자리를 위해서는 (협력업체) 고용에 보조를 해주며 국내 자동차 부품시장 경쟁에 참여할 수 있게 돕고, 코트라 등 해외 네트워크가 구성된 기구를 통해 해외 완성차 업체와 연결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단기 생존을 위한 자금지원을 넘어 기술지원을 포함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안 교수는 "재무적 보조뿐 아니라 기술보조까지 엮어서 업종을 전환할 수 있는 업체는 전환하도록 도와주고, 자동차 부품으로 승부를 보겠다고 하는 기업들은 글로벌 밸류체인에 편입될 정도의 기업으로 탈바꿈 해줘야 한다"며 "정부차원의 컨설팅도 필요하다"고 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도 "(협력업체들이) 쌍용차 전속계약보다는 여러 기업에 납품할 수 있도록 정부가 역할을 하고 세제 등 인센티브를 마련해 (판로를) 다변화시키는 노력을 해야한다"며 "업종전환은 모든 부품사들이 원하지만 쉽지 않은 만큼 M&A(인수합병) 등을 통해 구조조정을 하고 전환교육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쌍용차에 대해 전문가들은 구조조정을 포함한 혁신을 주문했다. 김 교수는 "군살을 빼는게 중요하다"며 "허리띠를 졸라맨 상태에서 투자자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5000억원 정도를 수혈해야 2년여를 버틸 수 있는 상황인데, 완전히 살아나기 위해서는 1~2조원을 넣어도 어려울 수 있다"며 "미래대응을 위한 고민을 해야한다"고 했다.

안 교수는 "매각이 성사된다면 최선의 방법이 되겠지만 소구점이 있는 기업이라고 보긴 어렵다"며 "뒤쳐졌던 R&D(연구개발) 투자를 늘려 기술격차를 줄이고 자생력을 갖출 정도가 돼야 매각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