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LH혁신안 대응 나서…"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등 추진"

뉴스1 제공 2021.06.21 15:02
글자크기

김경수 "부동산 투기가 근본적인 문제, LH만 희생양 삼으면 안 돼”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21일 경남 진주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에서 열린 11개 경남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장과 LH 혁신안 대응 및 혁신도시 활성화 방안을 확정하는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경남도 제공).2021.6.21 © 뉴스1김경수 경남도지사가 21일 경남 진주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에서 열린 11개 경남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장과 LH 혁신안 대응 및 혁신도시 활성화 방안을 확정하는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경남도 제공).2021.6.21 © 뉴스1


(진주=뉴스1) 강대한 기자 = 정부의 한국토지주택공사(LH) 혁신안에 따라 경남혁신도시 앵커기관인 LH의 역할이 축소될 것을 우려해 경남도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21일 경남 진주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에서 11개 경남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장과 LH 혁신안 대응 및 혁신도시 활성화 방안을 확정하는 간담회가 열렸다.



지난 7일 정부의 혁신안이 LH의 기능과 조직, 인력을 축소시키는 것으로 발표되면서 이날 간담회가 준비됐다.

LH혁신안 대응방안은 Δ인력 감축에 상응하는 수도권 공공기관 등 이전 추진 Δ혁신도시 앵커 기능 및 긍정적 기능 등을 살리는 조직혁신 방안 마련 Δ취업 준비생 피해 최소화를 위해 신규채용 규모 유지 등이 골자다.



경남혁신도시에서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채용된 지역인재는 475명이며, 이 중 LH의 채용 비중은 208명으로 43.8%에 이른다.

현재 2000여명의 인력감축이 예상되고 있으며, 이는 2개 이상 공공기관이 사라지는 것과 같은 영향이 있다고 분석됐다.

상생안으로는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 및 혁신안의 실질적 효과 완성을 위해 LH연구원 이전과 경남혁신도시 기능군과 관련성이 높은 수도권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본사 경남으로 이전이 제안됐다.


조직혁신 방안과 관련해서는 내·외부 감시·견제 기능 강화, 강력한 재발방지대책에 집중, LH 본연의 긍정적 기능 및 경남혁신도시의 앵커기능이 훼손되지 않는 방향으로 혁신안 세부실행계획이 수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21일 경남 진주 LH 본사 앞에서 천막 농성을 벌이고 있는 LH 노조 공동위원장과 인사를 하고 있다. 2021.6.21 © 뉴스1 한송학 기자김경수 경남도지사가 21일 경남 진주 LH 본사 앞에서 천막 농성을 벌이고 있는 LH 노조 공동위원장과 인사를 하고 있다. 2021.6.21 © 뉴스1 한송학 기자
신규채용 규모 유지를 위해 청년 일자리가 최대한 줄어들지 않도록 정부에 일정 수준 이상의 별도정원 인정을 요구하고, LH를 비롯한 이전공공기관에는 청년 일자리 및 채용규모 확대방안 협조 등을 요청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미래를 가늠하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면서 “LH문제는 단순히 LH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문제가 됐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경남혁신도시가 부울경 전체의 혁신도시로서 성장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책임지고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의 본질은 LH만의 문제가 아니다. 광범위한, 특히 수도권에 대한 부동산 투기에서 과도한 수익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자리를 잡고 있다”며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번 사건을 풀어가야 한다. LH만 희생양으로 삼아서는 부동산 투기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회의 참석 전 LH 본사 앞에서 천막농성 중인 장창우·이광조 LH노조 공동위원장들을 만나 격려하기도 했다.

그 외 ‘혁신도시 시즌 2’본격 추진에 따른 공공기관 협조, 부·울·경 메가시티와 연계한 산학연 초광역화 방안 등도 논의됐다.

‘혁신도시 시즌2’의 성공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도지사 직속 ‘혁신도시 2단계 발전추진단(가칭)’ 전담조직 구성하고, 진주시 등 시·군과 공공기관의 유기적인 협조체제 구축, 중소기업 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공공기관 주도 ‘경남 혁신융합 포럼’ 구성 및 운영 지원 등을 계획하고 있다.

또 부울경 지역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들 각각의 기능과 역할에 맞춰 부울경 기업들의 지역발전사업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인재 채용 범위도 부울경 지역으로 광역화하는 것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