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엔 '정년압박' 사측엔 '파업경고'…현대차 노조 폭주?

머니투데이 주명호 기자, 최석환 기자 2021.06.19 09:05
글자크기
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과 현대자동차·기아·한국GM 완성차 3사 노동조합(노조) 대표들은 18일 청와대 앞에서 정년연장 입법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사진제공=현대차 노조 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과 현대자동차·기아·한국GM 완성차 3사 노동조합(노조) 대표들은 18일 청와대 앞에서 정년연장 입법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사진제공=현대차 노조


현대자동차 노동조합(노조)이 정년연장을 놓고 국회와 정부, 사측에 동시 압박을 가하고 있다. 국회와 정부엔 지난 3월 이후 법제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으며 사측엔 올해 임금·단체협상(임단협)의 전제 조건으로 내걸었다.

노조는 요구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쟁의(파업)행위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무분규 조기타결을 이끌었던 지난해와 달리 현대차 노조가 올해 완성차 노사갈등의 선봉에 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文대통령 직접 해결 요구하고 나선 현대차 노조..정년연장 법제화 국민동의 청원 시동
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과 현대차 (235,000원 ▲4,000 +1.73%)·기아 (110,400원 ▼1,800 -1.60%)·한국GM 완성차 3사 노조 대표들은 18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정년연장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한 뒤 "문 대통령은 단계별 65세까지 정년연장을,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수령 연한과 연계한 법개정을 국민과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자회견은 지난 3월 진행한 정년연장 법제화 요구에 따른 후속 행보다. 당시 3사 노조는 "국민연금 수령시기가 61~65세까지 단계별 수급 구조로 돼있어 공백기간 동안 생계수단에 대한 특별한 대안이 없다"며 "정년연장 법제화는 노사정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며 이를 통해 노사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수 현대차 노조위원장도 지난 14일 국회 국민동의 홈페이지에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 연계한 정년연장 관련 청원 절차에 돌입한 상태다. 이 위원장은 조합원들에게 "정년연장 법제화의 첫걸음인 '국민 동의 청원'의 필요조건이 충족될 수 있도록 널리 홍보해달라"고 독려했다. 국민청원은 10만명의 국민 동의를 얻어야 접수된 뒤 국회 소관위원회 심사를 거쳐 최종 채택된다.

(울산=뉴스1) 윤일지 기자 = 현대자동차 노사가 26일 울산공장 동행룸에서 '2021년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 상견례'를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2021.5.26/뉴스1  (울산=뉴스1) 윤일지 기자 = 현대자동차 노사가 26일 울산공장 동행룸에서 '2021년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 상견례'를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2021.5.26/뉴스1
정년연장 임단협 협상 테이블에도.."파업도 불사" 경고
현대차 노조의 정년연장 카드는 임단협 협상에서도 핵심 쟁점이다. 이미 "국민연금 수령 직전 해인 64세까지 회사에 재직할 수 있다"는 조항을 내걸었기 때문이다. 사측은 현 경영상황 하에선 정년연장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앞서 17일 열린 8차 임단협 교섭까지 현대차 노사는 40개 단협 요구안과 13개 별도 요구안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으며 오는 22일 임단협 9차 교섭을 진행키로 했다. 현대차 노조는 10차, 11차 교섭을 연달아 진행한 후 차주에 열릴 12차 교섭에서 사측이 실질적인 일괄 제시안을 내놓아야 한다는 분위기다.

하지만 정년연장을 비롯해 양측의 입장이 극명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어 협상 타결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사측은 노조의 정년연장 요구에 맞서 현재 2년인 단협 주기를 3년으로 연장하는 안을 역으로 제시한 상태다. 이를 통해 매년 진행 중인 임금협상도 차후 2년 또는 3년으로 연장하겠다는게 현대차의 구상이다. 노조 역시 단협주기 연장은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노조가 제시한 요구안 곳곳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다. 해고자 일괄복직과 징계자에 대한 대사면이 대표적이다. 노조측은 "사실관계를 떠나 노사가 마찰할 수 있는 근거를 지워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사측은 이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런 만큼 일각에선 지난해와 같은 무분규 타결이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지난해 현대차 노사는 '코로나19(COVID-19)'라는 특수 상황을 고려해 쟁의 갈등 없이 임금동결 등을 골자로 한 임단협 합의 도출에 성공한 바 있다. 반면 올해는 사측의 태도에 따라 파업수순도 충분히 밟을 수 있다는게 노조의 입장이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납득할만한 일괄 제시안을 내놓지 않으면 지체없이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하고 쟁의절차를 밟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