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킥보드 규제에도 지바이크, 100억원대 투자유치 비결은?

머니투데이 이민하 기자 2021.06.13 07:00
글자크기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업계가 안전모 착용 의무화, 원동기 면허 보유 등 규제 강화로 고사 위기에 처한 가운데 '지쿠터'를 운영하는 지바이크가 100억원대 후속투자 유치에 성공해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전동킥보드 자체 생산 능력과 차별화된 공유서비스 운용 능력이 규제 우려를 뚫고 투자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는 평가다. 안전 이슈가 해소되면 친환경 교통수단인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수요가 다시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동킥보드 이용 시 안전 의무 등을 강화한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계도기간을 거쳐 이달 13일부터 본격 적용된다. 새 도로교통법에 따라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고 전동 킥보드를 타면 범칙금 2만 원이 부과된다. 또 전동킥보드 사용자는 원동기장치 자전거 이상의 면허를 보유해야 한다. 불법 주·정차된 전동킥보드에 대한 견인·과태료 부과 등도 가능해진다.

국내 운영 중인 전동킥보드는 약 60만대로 추산된다. 이중 15% 수준인 9만1000여대가 공유 전동킥보드다. 이는 2019년 말 기준(1만7000여대)보다 435% 증가한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그러나 개정 도로교통법으로 이용지 수가 최대 50% 이상 감소했다고 보고 있다.



위기 속에서도 대규모 투자 유치…기술력·운영능력 기대
공유킥보드 규제에도 지바이크, 100억원대 투자유치 비결은?


전반적인 업계가 맞은 위기 속에서도 지바이크는 국내 주요 벤처캐피탈(VC)에서 100억원대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해 7월 시리즈A를 유치한 지 9개월 만이다. 지바이크의 누적 투자유치액은 150억원을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에는 스트롱벤처스와 싸이맥스, SBI 인베스트먼트, 프리미어 파트너스, 유안타인베스트먼트(VC본부), 미래에셋벤처투자 등 대형 벤처캐피탈들이 대거 참여했다.

지바이크 측은 "비밀유지조항에 따라 구체적인 투자액은 비공개지만, 국내 마이크로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업체들의 단일 라운드 중 가장 큰 규모"라며 "당초 유치하려던 투자 금액보다 훨씬 더 많은 금액이 모였다"고 설명했다.

2017년 공유 자전거 서비스로 출발한 지바이크는 2019년 1월 '지쿠터'를 출시, 전동킥보드 사업을 본격화 했다. 지쿠터는 출시 이후 매년 10배 이상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매출 100억원,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해 서비스 운영 2년만에 흑자를 달성했다.


현재 전국 50여개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지쿠터는 2만여대다. 보유 대수 대비 운영 대수 비율을 90% 이상 유지하고 있다. 전동킥보드 관련 누적 주행 건수는 1000만건을 넘었다. 지쿠터의 사고율은 0.0023%로 집계된다. 서울시 공유자전거 '따릉이'의 사고율(2019년 기준 0.0027%)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전용 전동킥보드 지쿠터는 자체 개발, 국내 공장에서 위탁생산한다. 중국산 전동킥보드를 수입해서 쓰는 경쟁업체들과 차별점이다. 올해는 한국 주행환경에 적합하도록 안전성을 높인 신모델 도입을 준비 중이다. 주행뿐 아니라 거치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도 개발 중이다. 앞서 SKC와 협업해 태양광 발전기술을 적용한 무선충전 스테이션도 개발, 올해 거점 지역에서 시범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실증사업 추진…이용 편의성·안전성 개선 중
투자사들은 국내 업체 중에서도 지바이크의 기술력과 운영능력이 경쟁 우위에 있다고 평가했다. 김한영 SBI인베스트먼트 이사는 "중국산 전동킥보드가 지배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에 국산 전동킥보드(지쿠터K) 상용화를 성공시키는 등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며 투자 이유를 설명했다.

퍼스널 모빌리티 산업이 현재 '성장통'을 겪고 있지만 결국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대세가 될 수 있다는 기대도 반영됐다. 실제 지바이크는 서울시 및 서울산업진흥원(SBA)과 '스마트시티 리빙랩' 실증사업도 진행 중이다. 서울시 마곡지구 내 스마트 인프라와 공공시설에서 도시에 최적화된 전동킥보드 이용, 주차방안 등을 찾을 계획이다. 친환경 무선충전 시스템도 도입될 예정이다.

윤종수 지바이크 대표는 "전동킥보드 안전이용에 대한 캠페인뿐 아니라 배치·위생 관리인력, 기술 개발 및 사업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라며 "강점인 운영기술 등을 활용해 주변 지역상점들과 이용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인 '지쿠터고 서비스'도 고도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