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여백신 예약' 한국의 대반전…일본과 중국은 못하는 이유 있다

머니투데이 이동우 기자 2021.06.05 07:00
글자크기
코로나19 잔여백신 당일 서비스/ 사진=뉴스1  코로나19 잔여백신 당일 서비스/ 사진=뉴스1


'잔여백신 예약' 시스템이 코로나19(COVID-19)를 잡을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진다. 남은 백신의 신속한 활용으로 백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줄어들면서 접종률이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서다.

한국이 보유한 수준 높은 방역 데이터와 IT(정보통신) 인프라가 결합한 결과라는 분석이 이어지는 가운데 영미권 선진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에 이런 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은 배경에도 관심이 쏠린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2주간 시범 운영 중인 잔여백신 예약 서비스를 이용해 백신을 접종한 인원은 이날 0시 기준 전날보다 5만6161명이 늘어 총 38만7351명이다. 이중 카카오와 네이버를 이용해 백신을 예약·접종한 이들은 1만6139명으로 집계됐다.

잔여백신 예약 시스템은 '백신 폐기율'을 크게 낮추는 데 일조한 것으로 평가된다. 예약 붐이 일면서 백신에 막연한 불안감을 갖던 여론도 누그러졌다. 아스트라제네카(AZ)는 한 병에 10~12명 접종이 가능한데, 개봉 뒤 최대 6시간 이내에 써야 한다.



손정의도 탄식한 '아날로그 일본'…코로나19 대응 실패에 디지털청 추진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도쿄에서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과 EU·일본 화상 정상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AFP(뉴스1)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도쿄에서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과 EU·일본 화상 정상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AFP(뉴스1)
이웃 국가인 일본은 부러운 시선을 숨기지 못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지난달 28일 "한국은 사회문제 해결에 IT를 기동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잔여백신 예약 시스템을 집중 조명했다. 일본의 경우 높은 시민의식에도 IT 인프라 부재로 활용도가 떨어져 실시간 백신 예약을 적용하기 어려웠다.

앞서 일본은 코로나19 대응에서 정부의 디지털 분야 낙후성을 인식하고 오는 9월 '디지털청'을 신설하기로 했다. 이른바 '디지털 패전(敗戰)'에 대한 반성이다. 코로나19 검사 결과도 팩스로 통보하고 여전히 공문서에 도장을 날인하는 등 뿌리 깊은 아날로그 체제를 바꾸려는 행보다.

일본은 지난해 '허시스(HER-SYS)' 시스템을 통해 코로나19 환자 발생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겠다고 밝혔지만, 의료진의 외면을 받기도 했다. 여전히 지자체와 보건소 직원들은 환자 정보를 팩스로 주고받으며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일교포 3세인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SBG) 회장이 "일본의 현 상황이 너무 슬프고 우려된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시민의식·인프라 中 보다 韓…"방역 정책에 사회적 합의 있다"
10일(현지시간) 중국 난징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AFP(뉴스1) 10일(현지시간) 중국 난징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AFP(뉴스1)
중국은 '거지도 QR코드로 구걸'한다고 할 정도로 모바일 결제 등이 발달했지만, 정부가 백신 접종에 IT 인프라를 활용하려는 의지가 높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해 정보를 획득·활용하는 국민의 '디지털 리터러시'(literacy)도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에선 질병관리청의 기획과 카카오·네이버 등 민간 IT기업의 개발 역량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시너지를 발휘했다. 한 IT 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우리처럼 민간이 참여하는 사회공헌을 시도하지 않는다"며 "시민의식이나 IT 인프라도 한국과 비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영미권 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중시해 개인정보를 활용한 철저한 방역 체계를 갖추기 어렵다.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마스크 착용을 두고서도 사회적 갈등을 빚었다. 여기에 자국 백신개발 회사가 있어 물량이 비교적 풍부하다는 점도 실시간 시스템 개발 수요가 덜한 요인으로 꼽힌다.

최재홍 강릉원주대 멀티미디어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메르스(MERS)와 사스(SARS) 이후 국민 건강을 위해서 법적으로 개인정보를 활용하도록 하는 등 다른 나라보다 사회적으로 합의가 돼 있다"며 "K-방역은 개인정보 활용과 보호 사이에서 선을 지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