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간담회는 지난달 28일 정부가 발표한 '가상자산 거래 관리방안'의 후속 조치다. 과기정통부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산업 육성을 주관한다. 조 차관이 이날 방문한 라온시큐어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증명서 개발을 위한 정부 시범 사업에 DID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과기정통부·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추진하는 병무청의 블록체인 전자지갑 사업 등 굵직한 정부 주관 블록체인 사업자다. 올 초 도입된 모바일 공무원증도 라온시큐어가 만들었다. 현재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국내 면허 소지자 약 3000여만명, 병무청 전자지갑은 군복무를 했거나 병역을 이행할 모든 국민이 서비스 수혜자로 예상된다.
이같은 대국민 서비스에 사용되는 블록체인 분산신원증명은 블록체인에 개인정보와 개인이 가진 문서 정보, 신분 정보 등을 여러 조각으로 나눠 암호화한 상태로 저장하는 인증 기술이다.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려면 본인 인증키로 분산된 정보를 동시에 호출돼야만 정상적으로 암호가 풀리기 때문에 해킹 위협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다.
이정아 라온시큐어 사장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시범 사업이 초기 과제 사업에만 그치지 않고 실제 대국민 서비스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업들이 새로운 인증 기술을 신청할 때 정부 차원에서 혜택을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 차관은 이 자리에서 "블록체인은 참여자들이 확인할 수 있고 위·변조가 어려운 특성을 통해 익명화된 디지털 세상에서 신뢰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라며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대표 사례를 발굴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블록체인 기업을 육성하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선제적으로 (해소할) 규제를 발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