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약 후기 개발에 집중하는 1조 메가펀드 조성해야"

머니투데이 김근희 기자 2021.05.26 10:50
글자크기

정부·민간 합동 형태 펀드 조성…후기 임상 지원해야

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 대표가 26일 열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언론 웨비나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줌 웨비나 캡쳐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 대표가 26일 열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언론 웨비나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줌 웨비나 캡쳐


국산 블록버스터 신약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임상시험 등 후기 개발에 집중 투자하는 메가펀드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임상이 진행될수록 대규모 자본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현재 정부는 신약 개발 초기 단계에만 집중 투자하고 있는데, 메가펀드를 통해 이를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 대표는 26일 열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언론 웨비나(웹+세미나)에서 연자로 나서 "K-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개발) 초기 기술수출 중심에서 후기 임상 개발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K-바이오 업체들의 기술수출 건수는 14건, 규모는 약 10조원을 기록했다"며 "그러나 (해외)시장으로 직접가서 매출을 만들어야 큰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국내 혁신신약들의 글로벌 진출은 기술수출에 비해 규모가 적다"고 지적했다.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은 국산 신약은 △LG화학 (373,000원 ▼8,500 -2.23%)의 '팩티브' △동아에스티 (69,000원 0.00%)의 '시벡스트로' △SK케미칼 (57,500원 ▼600 -1.03%)의 '앱스틸라' △SK바이오팜 (83,300원 ▼1,700 -2.00%)의 '수노시', '엑스코프리 등이다. 수노시의 경우 글로벌 제약사 재즈 파마슈티컬스에 기술이전되 후 FDA 승인을 받은 만큼 직접 FDA허가를 받아낸 국산 신약은 4개에 불과하다.



허 대표는 K-블록버스터 신약이 세계로 나가기 위해서는 우선 국내 신약개발 자본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봤다. 현재 국내 신약개발 투자는 정부, 민간펀드, 기업 자체 투자로 이뤄지는데 정부 지원의 경우 기초연구와 초기개발 단계에만 집중돼 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2019년 한국의 신약개발 연구 효율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개국 중 상위권에 속한다. 반면 승인 임상 수, 허가 신약 수 등 개발 효율성은 15위에 불과하다. 신약 초기 연구는 수월하게 이뤄지지만, 후기 임상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허 대표는 "신약 개발의 핵심은 후기 임상 성공"이라며 "개발 후기로 갈수록 대규모 자본과 긴 개발 기간이 필요하지만 현재 국가정책 자금이 후기 임상에 투입되는 경우는 제한적"이라고 했다.


이어 "민간펀드도 초기 개발 스타트업이나 바이오 벤처에 집중돼 있고, 기업들의 투자 규모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민간펀드, 기업이 합쳐 민관 합동형 파트너십(PPP) 형태의 1조 규모 펀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 대표는 "후기 임상 비용 등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대형 메가펀드 구축이 필요한다"며 "또 혁신성 있는 신약후보물질을 골라내 신약 국가대표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럽의 경우 PPP인 IMI를 만들었고, 싱가포르는 후기 임상에 집중 투자하는 국부펀드 테마섹을 만들었다"며 "앞으로 정부는 투자자로서 후기 임상을 위한 자본시장의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하고, 민간은 현물출자와 현금투자를 통해 신약개발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