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부터 누수까지 AI로 관리…'스마트 물기업' 5개사 어디?

머니투데이 이창명 기자 2021.05.24 12:00
글자크기

니브스코리아·로커스솔루션·아이에스테크놀로지·이엔아이씨티·청호정밀에 연간 2억원 최대 2년 지원

/자료 제공=환경부/자료 제공=환경부


정부가 지능형(스마트) 물관리 사업을 키우기 위해 물기업 지원에 적극 나선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물기술 능동형 디지털화 지원사업'에 물기업 5개사를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선정된 5개사는 오는 25일 열리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에서 협약식을 체결한다.

물기술 능동형 디지털화 지원사업은 강소 물기업 육성을 위해 물기술 제품에 스마트 기능 탑재를 위한 기술개발과 기능 향상, 국산화 등 스마트 상하수도 관리체계 추진에 발맞춰 추진하는 물산업 수요 맞춤형 지원사업이다.



사업의 세부부문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디지털 기술제품 △능동형 스마트 기술제품 △해법(솔루션)-운영 시스템 △탄소·에너지 저감 기술제품 분야의 기술개발 등이다. 선정기업에 대해서는 실증화 및 사업화를 지원한다.

이번 지원사업 모집에는 스마트 상·하수도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물기업 12개사가 신청했으며, 평가를 거쳐 니브스코리아·로커스솔루션·아이에스테크놀로지·이엔아이씨티·청호정밀 등 5개사가 최종 선정됐다.



이엔아이씨티는 땅 속에 매설된 기존 제수밸브의 개도율 확인과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점에 착안해 개도율(제수밸브의 개방정도를 나타낸 값) 표시 및 고장진단 기능이 있는 스마트 제수밸브 캡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제품이 앞으로 현장에 적용될 경우 스마트폰을 통한 손쉬운 점검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청호정밀은 1대로 최대 8대의 수도미터를 검침할 수 있는 1대 다 스마트 워터미터 외부 원격검침기를 개발한다. 이 제품을 통해 시설 및 통신 비용 절감 효과와 더불어 국제표준 통신규약(프로토콜) 사용, 데이터 보안 기능 활용 등으로 해외 진출이 기대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선정된 기업에 대해 능동형 디지털 물기술제품의 고도화, 혁신화 및 사업화를 위해 연간 2억원(최대 2년간)을 지원한다. 연차 평가를 통해 지속 지원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기업들은 국가물산업클러스터의 실증·연구시설을 활용하고 사업화를 위한 기술개발 상담(컨설팅) 등의 혜택도 받을 수 있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이번 지원사업이 주요 그린뉴딜 사업인 스마트 상·하수도 구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면서 "선정된 기업들이 스마트 물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장준영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스마트 상하수도 관리체계에 발맞춘 물기술제품의 고도 및 혁신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앞으로도 맞춤형 기업지원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