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6G에 4조 투자…기술개발 힘 모으는 '오픈랜' 뭐길래

머니투데이 김수현 기자 2021.05.24 05:35
글자크기

6G 이동통신에 한미 35억달러 공동 투자
오픈랜 기술 개발과 표준화 분야 협력

(서울=뉴스1) =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오후(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 뒤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청와대 제공) 2021.5.22/뉴스1  (서울=뉴스1) =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오후(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 뒤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청와대 제공) 2021.5.22/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6G(6세대 이동통신) 분야에 35억달러(약 4조원)를 공동 투자하기로 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양국이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인 Open-RAN(오픈랜) 기술 개발과 표준화에 적극 힘을 모으기로 약속하면서 오픈랜 기술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양 정상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 뒤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이동통신 보안과 공급업체 다양성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오픈랜 기술을 활용하여 개방적이고 투명하고 효율적이며 개방된 5G, 6G 네트워크 구조를 개발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5G 및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6G)를 포함한 첨단 정보통신기술 개발에 미국은 25억달러, 한국은 10달러를 공동 투자한다.



기지국을 소프트웨어로 구현…'오픈랜' 뭐길래
한·미, 6G에 4조 투자…기술개발 힘 모으는 '오픈랜' 뭐길래
양국이 언급한 '오픈랜(Radio Access Network)'은 소프트웨어로 무선 접속망 기술을 구현해 개방형 표준을 도입하는 기술이다. 기지국은 전파 송수신 기능만 전담하는 하드웨어로 구현한다.

마치 스마트폰에서 개방형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를 채택하고 삼성전자, 레노버 등 제조사가 스마트폰 하드웨어를 공급하는 것과 유사하다. 이렇게 완성된 스마트폰은 주기적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성능을 높이며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처럼 오픈랜은 스마트폰의 OS와 같이 네트워크 장비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방형으로 구축해 보안을 높이고 네트워크 장비 하드웨어에 대한 종속성을 탈피할 수 있다. 이동통신사 입장에선 수요에 맞게 기지국 업그레이드가 용이해 운용효율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특히 5G에서 6G로 이어지는 네트워크 기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점차 기술이 고도화하며 대규모 망을 신규 구축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미국은 화웨이와 관련된 이동통신 보안 문제 등을 배경으로 들며 일찌감치 오픈랜 상용화를 추진해왔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5G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연내 오픈랜 기술 진화를 위한 종합적인 정책 방안과 규제 개선 방향 등을 제시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통신3사 역시 오픈랜 기술 상용화에 대비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페이스북, 인텔, 노키아, 도이치텔레콤이 참여 중인 글로벌협의체인 텔레콤인프라프로젝트(TIP)에서 오픈랜 기술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오픈랜 민·관 연합체가 출범하기도 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삼성전자, 에릭슨LG, 노키아, 다산네트웍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총 23개 기업·기관이 참여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