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금융경제 핵심 류허 부총리 "비트코인 채굴-거래 엄벌"

뉴스1 제공 2021.05.22 06:40
글자크기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중국 국기 오성홍기와 가상의 비트코인 동전 © 로이터=뉴스1중국 국기 오성홍기와 가상의 비트코인 동전 © 로이터=뉴스1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중국 금융과 경제를 책임지는 류허 국무원 부총리가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채굴과 거래행위가 금융시스템 전반을 위협한다며 강력하게 단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류 부총리 주재로 진행된 국무원 금융안정발전위원회 회의를 마치고 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증권시장의 불법행위를 단속하고 주식, 채권,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안정위는 성명에서 중국의 신중한 통화정책이 유연하고 선별적이며 적절하다며 위안화 환율 역시 합리적이고 균형적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무원 산하 금융안정위의 이번 성명은 중국 규제 당국들이 은행과 결제기업의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를 사실상 금지한다고 발표한지 며칠도 되지 않아 나왔다.



특히 중국의 금융과 경제를 관할하는 류 부총리가 사실상 직접 비트코인을 단속하겠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강력한 억제력이 재확인됐다. 그는 중국에서 공식적으로 비트코인 단속명령을 내린 최고 정부 관료다. 또, 국무원이 직접적으로 암호화폐의 채굴 행위를 구체적으로 비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의 초강력 규제의지에 비트코인은 또 추락했다. 이 소식이 전해진 직후 비트코인은 15% 넘게 폭락했고 2위 암호화폐 이더리움 역시 비슷한 낙폭을 그리며 자유낙하했다.

중국 관영 CCTV 역시 홈페이지에 논평을 통해 암호화폐 거래가 전체 시스템에 가하는 위험을 경고했다. CCTV 논평은 "비트코인은 더 이상 위험을 회피할 투자 수단이 아니다"라며 "투자라기 보다 투기 수단"이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암호화폐가 암시장에서 서 돈세탁, 무기밀매, 도박, 마약거래 등을 위해 사용되며 규제를 거의 받지 않는 자산이라고 CCTV 논평은 지적했다.


암호화폐 채굴은 중국에서 상당히 큰 산업이 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전세계 암호화폐 공급에서 최대 70%를 차지하기도 했다. 다만, 그 비중은 최근 몇 년 사이 떨어졌다는 일각의 주장도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윈스톤 마 NYU로스쿨 교수는 중국의 채굴단속에 대해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암호화폐 거래소와 코인공개를 금지하지만 개인들이 암호화폐를 보유하는 것을 막지는 않는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