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반도체 회의 또 불려가는 삼성…20조 투자 계산서 재압박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 2021.05.11 11:41
글자크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열린 반도체 공급망 복원에 관한 최고경영자(CEO) 화상 회의에 참석해 실리콘 웨이퍼를 들고 있다. /사진=뉴스1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열린 반도체 공급망 복원에 관한 최고경영자(CEO) 화상 회의에 참석해 실리콘 웨이퍼를 들고 있다. /사진=뉴스1


삼성전자 (77,600원 ▼2,000 -2.51%)가 오는 20일(현지시간) 미국 정부의 글로벌 반도체 대책회의에 다시 불려간다. 백악관 국가안보실이 주관했던 지난달 12일 첫번째 회의 이후 한달여만이다. 이번 회의는 미국 상무부가 주최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참석해 명분을 강조했던 지난달 회의보다 미국 현지 투자 등 더 구체적인 요구가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10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나 러만도 미국 상무부 장관이 오는 20일 글로벌 반도체 공급부족 해법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에 삼성전자, TSMC, 구글, 아마존, 제너럴 모터스, 포드 자동차 등 반도체와 자동차업체를 초청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회의에 참석하는 기업들은 이번 주 사전 모임을 갖고 회의 의제를 의논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회의에 비해 실무협의의 성격이 짙다. 지난달 회의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내건 미국 중심의 반도체 동맹이라는 명분에 부합하는 실질적인 방안이 논의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단기적인 반도체 공급 일정은 물론, 중장기적인 미국 현지 투자 계획 등이 모두 다뤄질 가능성이 크다.

인텔의 경우 지난달 회의에 앞서 200억달러(약 22조6000억원)의 미국 애리조나주 반도체 공장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 업체인 대만의 TSMC도 애초 계획한 미국 현지공장 1개를 최대 5개 늘려 총 6개 짓겠다는 파격적인 계획을 밝혔다.



삼성전자로선 다소 곤혹스러운 상황이 됐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삼성전자는 170억달러(약 20조원)를 투자해 미국에 파운드리 공장을 지을 계획이지만 세제 혜택 등을 두고 미국 지방정부와 협상을 진행하면서 시점과 장소를 아직 확정하지 않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잇따라 노골적인 요구를 압박해오면서 협상력을 발휘하기 쉽지 않아졌다는 분석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2차 반도체 회의 다음날인 21일 한미정상회담이 열린다는 점에서 삼성전자가 2차 회의에서 미국 현지 반도체 투자 계획을 발표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삼성전자의 대규모 투자 계획이 한미동맹을 재확인하는 일종의 선물로 연출될 수 있다는 얘기다.

재계에서는 우리 정부가 세제 혜택 등을 두고 미국 정부를 상대로 좀더 적극적으로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삼성전자는 20조원 규모의 반도체 공장 투자가 단행되면 89억달러(약 10조원)의 경제 효과와 2만개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는 점을 내세워 현지 지방정부를 상대로 1조원 상당의 세제 혜택 지원을 요청해왔다.


익명을 요청한 업계 한 인사는 "문재인 대통령도 취임 4년차 기자회견에서 전세계적인 반도체 패권경쟁의 현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 만큼 정부가 기업에 기대지만 말고 얻어낼 것은 얻어내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민관의 외교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