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말 증시에서 건설업, 철강업 등 4월 강세장에서 강한 상승흐름을 보였던 업종이 가장 큰 낙폭을 보인 것도 공매도 재개로 기존 상승폭을 상당 부분 반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동학개미' 군단의 거센 반대 여론이 들끓었던 데다 여당 지도부 등 정치권이 이에 호응에 '공매도 금지 연장' 목소리에 힘을 보태면서 공매도 재개는 또 미뤄졌다. 이번 해제 역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의 원상복귀가 아니다. 어디까지나 코스피200, 코스닥150 등 양대 시장의 대표종목들에만 국한되는 제한적 해제다.
당국은 그간 '기관·외국인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공매도 투자에 개인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신용융자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등 사전 조치를 취했다. 개인에게 주식을 빌려주는 증권사의 수도 종전 6개사에서 17개사로 늘어난 것이 대표적이다. 불법 공매도 감시체계 강화도 공매도 재개를 위해 당국, 한국거래소 등이 취한 조치다. 그만큼 공매도 재개가 이뤄지기 어려웠음을 방증한다.
증권가 "공매도 시장영향 최소 중립적, 대형주는 수혜 기대감"

또 "국지적으로 코스피200, 코스닥150 벤치마크 내 일부 업황·실적 부진주와 인덱스 편출우려 종목군을 겨냥한 수급 노이즈는 불가피할 것"이라며 "펀더멘털 기반 종목간 차별화 등 공매도 재개의 나비효과를 주목할 만하다"고 했다.
외국인의 자금유입 기대감도 높다. 장기간 공매도 금지로 인한 금융 시스템 왜곡이 해소되는 긍정적 효과가 더 클 것이라는 것이다. 이나예·송승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금지 이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을 밑도는 백워데이션 국면이 지속됐는데 이는 '선물매수-현물매도' 형태의 매도차익거래 확대 유인으로 작용했다"며 "공매도가 재개되면 현물매도 포지션이 가격에 반영되면서 백워데이션 기조가 점진적으로 해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간 공매도 금지조치로 현물 공매도가 불가능해지면서 기관·외국인은 현물 공매도가 아닌 선물 매도로 숏포지션을 구축해왔다. 이로 인해 선물매도가 정상 수준 대비 과도하게 이뤄짐으로써 현·선물 베이시스(가격차)가 왜곡됐고 프로그램 차익매매까지 영향을 받았다. 공매도 재개는 이같은 왜곡을 해소해 외국인 자금 유입을 가능케 할 것이라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다만 공매도 재개의 수혜는 대형주에만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노동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금지 직전 코스피200과 코스닥150의 일간 공매도 대금은 각각 1조원, 2000억원으로 거래대금의 8.4%, 4.3%를 차지했다"며 "코스피200은 현·선물 가격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반면 코스닥150의 선물 대비 현물 고평가 폭은 크다"고 했다.
노 연구원은 "과거 공매도 재개 이벤트가 코스피에 대한 외국인 자금 유입으로 이어졌던 점을 고려하면 향후 중소형주 대비 대형주의 상대수익률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높다"며 "국내 증시 무게 중심은 공매도 재개 이벤트를 거쳐 점차 대형주로 이동할 것으로 보여 포트폴리오 내 대형주 비중을 확대하는 투자전략이 필요한 국면"이라고 했다.
그럼에도 우려되는 종목군은?

이들은 이미 공매도에 노출된 정도가 크다는 점에서 위험종목군으로 분류된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잔고 부담은 공매도 금지 기간 이후에도 공매도 잔고가 상당량 남아있다는 것"이라며 "그만큼 공매도에 노출된 종목이라는 의미"라고 했다. 다만 전 연구원은 "주가가 상승 반전할 경우 해당 공매도를 '숏커버(공매도 포지션 청산을 위한 주식 재매입)'해야 하는 수급적 요인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양면적 의미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실적 우려가 제기되는 종목은 공매도의 먹잇감이 되기 쉽다는 평가도 있다. 설태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3월말 대비 대차잔고가 늘어난 종목 중 향후 이익 기대감이 낮아진 데다 목표주가 하향폭도 상대적으로 큰 종목으로 △오뚜기 (384,500원 ▼4,000 -1.03%) △두산퓨얼셀 (21,500원 ▼100 -0.46%) △엔씨소프트 (238,500원 ▼23,000 -8.80%) △한국전력 △LS ELECTRIC △휠라홀딩스 △파트론 △케이엠더블유 등을 꼽았다.
유안타증권도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밑돈 △CJ CGV △제이콘텐트리 (15,660원 ▲370 +2.42%) △GKL (13,270원 ▲120 +0.91%) △대우조선해양 (25,750원 ▲50 +0.19%) △HMM △금호석유 △오스템임플란트 △실리콘웍스 등을 우려종목으로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