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원 낸다는데도 급등…K배터리의 미래, 주가는 안다

머니투데이 우경희 기자, 김소연 기자 2021.04.12 20:20
글자크기

[MT리포트]K배터리 '루즈(Lose)·루즈'에서 '윈(Win)·윈'으로-①

편집자주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간의 '세기의 소송'이 2조원의 보상금에 합의하면서 마무리됐다. 불확실성 해소로 시장은 환호했지만 소송 과정에서 잃은 것도 많다. 소송의 짐을 털고 다시 뛰는 한국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과 풀어야할 과제를 짚어본다.

시장은 알고있었다. SK그룹과 LG그룹 간 '배터리 대타협' 바로 다음날인 12일 LG에너지솔루션(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주가가 치솟았다. 합의금 2조원(현금 1조원+로열티 1조원)을 받기로 한 LG에너지솔루션은 차치하더라도 눌러왔던 시장의 기대감을 터트리듯 SK이노베이션까지 주가가 12% 가까이 올랐다.



움직인건 시장만이 아니었다. 한미 양국에서 대통령들도 움직였다. 전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양사 간 합의에 대해 "미국 노동자와 자동차산업의 승리"라고 한껏 추켜세운데 이어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오전 예정에 없던 입장을 내고 "참으로 다행"이라고 밝혔다. "국익과 개별 회사의 장기적 이익에 모두 부합한다"고도 했다.

산업 전체로 보면 순이익이나 영업이익 면에서는 아직 적자다. 동전 몇 푼도 벌지 못하는 배터리 산업이다. 이 와중에 수조원의 합의금을 부담해야 하는 기업의 주가가 뛴다. 불확실성 해소라는 표현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다. 소송과 합의, 배상금 이면에 가려진 배터리산업의 펀더멘털이 느껴진다. 소송의 족쇄를 푼 'K배터리 레이스'에 대한 기대감이다.



2조원 낸다는데 치솟은 주가, 시장의 기대감 반영
지난 17일 오전 서울 용산구 아이오닉 5 스퀘어에서 현대자동차의 첫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가 적용된 '아이오닉 5'가 전시되어 있다. /사진=홍봉진 기자 honggga@지난 17일 오전 서울 용산구 아이오닉 5 스퀘어에서 현대자동차의 첫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가 적용된 '아이오닉 5'가 전시되어 있다. /사진=홍봉진 기자 honggga@


2조원의 배상금은 양사 모두 조금씩 양보한 수준이다. 업계와 시장이 주목하는건 지급 방식과 기한이다. SK는 발표대로 현금 1조원을 연간 5000억원씩 2년에 걸쳐 먼저 LG에 지급한다. 로열티 1조원 지급 방식은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매출 대비 1%대에서 일정 비율을 정해 6~10년 간 분할 납부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매출액에 반영되는 로열티는 회사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두 가지 시나리오로 전망해야 한다. 매출이 크게 늘어날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다. 늘어나지 않는다면 수익감소와 겹쳐 치명적 타격이지만, 매출 우상향이 전제가 된 상황에서는 거의 충격이 느껴지지 않는다.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서 K배터리 위상은 급성장하고 있다. 2019년 중국 CATL과 일본 파나소닉 등에 밀리던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이노베이션)은 탑재량(공급량) 면에서 이들을 앞설 수 있는 디딤돌을 깔았다. 지난해 기준 3사 합산 점유율이 34%로 중국(CATL 25%, BYD 7%)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전체 시장 규모는 말 그대로 폭발적 성장을 구가한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이 올해 56조5000억원에서 2022년 71조5000억원, 2023년 95조800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점유율 추세와 시장 성장성을 감안하면 2조원의 합의금이 큰 충격으로 작용한다고 보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시장의 전망도 그렇다. 한상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소송 합의가 한국 2차전지 업종 전반에 긍정적 이슈지만 가치 저평가 측면에서 SK이노베이션에 가장 호재"라고 말했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로열티 1조원은 수주잔고의 1.4% 수준이고, SKIET 상장 및 루브리컨츠 지분매각으로 유입될 현금 약 3조원을 고려할 때 추가 차입없이 대응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를 감안하면 LG에너지솔루션으로서도 탁월한 판단을 한 셈이다. 1조원을 이른 시간 내 받아 투자재원을 마련하고, SK의 매출규모가 성장할 이후 시점에 러닝 로열티를 받는 구조다. 말 그대로 윈윈(win-win)이다. 국내외를 넘나드는 소송을 벌이며 소모의 2년을 보낸 양사의 깨달음이 합의의 발판이 됐다.

K배터리가 그리는 세계지도, 꿈같다고? 현실이다

3월19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커머스시에서 열린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 공장 기공식에서 주요 인사들이 첫 삽을 뜨기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 6번째부터 왼쪽으로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 등. /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3월19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커머스시에서 열린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 공장 기공식에서 주요 인사들이 첫 삽을 뜨기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 6번째부터 왼쪽으로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 등. /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그간 쏟아부은 소송비용은 말이 소송비용이지 실상 배터리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헐어 쓴 셈이다. 비용만 손실이 아니다. 시장이 막 열리는 상황에선 시간이 돈이다. 지금 낭비하는 시간은 몇년 내에 엄청난 수익으로 돌아올 수 있는 가장 큰 재화다. 이를 더 낭비할 수 없다는 판단이 극적 합의의 원동력이다. 주가급등 배경엔 허비될 시간을 아꼈다는 평가도 갈려 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 배터리사들의 경쟁력은 숫자로만은 표현이 안 된다. 미국이 조급하게 나선 것은 이를 잘 보여준다. 한국산 배터리 공급이 막힐 경우 답이 없다. 한국 배터리사들의 위기를 틈타 중국과 독일이 기민하게 움직인 것도 이때문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주춤했던 중국의 움직임이 심상찮다. 이미 거미줄같은 판매망을 구축했다.

투자에 집중해야 한다. 미국 투자에선 SK이노베이션이 앞서 있다. 글로벌 배터리시장의 기대가 집중되는 미국 시장 투자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해야 한다. 최대 5조원이 투입되는 프로젝트다. 폭스바겐과 포드 미국공장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최근 유럽에 1조원 이상을 들여 짓기 시작한 분리막 공장은 투자의 백미다. 배터리 완성체 뿐 아니라 소재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도 총 5조원의 대규모 미국 투자를 선언했다. 2025년까지 두 곳의 배터리 생산거점을 짓는다. 6월 이전 투자계획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소송전이 마무리된 만큼 견실한 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늘리겠다는 각오다. GM 등 미국 내 메이저 완성차업체들과 접점은 더 넓어질 전망이다.

삼성SDI도 공식 발표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미국 투자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한국과 중국, 유럽, 미국공장에 더해 글로벌K배터리 지도가 완성되고 있다는 의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