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LG 배터리 전격합의 "보상금 2조원, 10년간 쟁송금지"(상보)

머니투데이 우경희 기자, 심재현 기자, 김성은 기자, 최민경 기자 2021.04.11 16:18
글자크기
SK이노베이션 미국 조지아주 제1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사진제공=SK이노베이션SK이노베이션 미국 조지아주 제1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사진제공=SK이노베이션


한국 배터리산업의 미래를 미국 대통령과 독일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에게 맡길 수는 없었다. 평행선을 달리던 SK그룹과 LG그룹이 '막판의 막판'에 결국 손을 잡았다. 한국 배터리 업계가 그동안의 갈등을 털고 한국 그린뉴딜 성장의 한축으로 선의의 경쟁과 협력을 통해 함께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이 만 2년을 끌어 온 배터리 전쟁을 종료한다고 11일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ITC(국제무역위원회) 판결 거부권 행사 시한(한국시간 12일)을 하루 앞둔 극적 봉합이었다.



양사는 이날 각각 이사회를 열고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와 특허 등을 놓고 미국 ITC 및 국내서 벌이고 있는 분쟁을 완전 종료하는 합의안을 의결했다. 합의의 조건으로 SK는LG에 총 2조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현금 1조원에 로열티 1조원이다. 양 사는 또 향후 10년간 추가로 쟁송하지 않기로 약속했다.

지난 2월 ITC는 LG로부터 가장 먼저 제기된 영업비밀침해 소송에 대해 LG 승소를 결정했다. 이후 벌어진 SK가 제기한 특허 소송에 대해서는 예비판결을 통해 SK 승소를 결정했다. 한 차례씩 승패를 주고받으면서 합의금 규모가 조정됐다.



ITC는 2월 LG 승소를 결정하며 SK에 대해 미국 내 10년 간 배터리 수입금지를 판결했다. 이에 따라 SK이노 조지아공장의 가동 여부도 불투명해진 상황이었다. 양사 극적 합의를 통해 조지아공장은 정상 가동 수순을 밟게 됐다.

결단의 배경엔 양 그룹 오너들이 있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최종합의 전 박용만 전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의 주선으로 만나 교감했다. 이후 실무진이 협상을 벌여 최종 합의안을 도출했다.

바이든 대통령도 한 몫 했다. SK 조지아공장이 무산될 경우 최대 4000여개의 일자리를 잃고 정치적 타격을 입게 된다. 그렇다고 국제 분쟁에서 한 쪽 편을 들기도 어려웠다. 바이든 행정부 역시 막판 합의 종용에 집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의 상처는 깊다. 집안싸움이 길어지자 글로벌 완성차 1위이자 양사에 가장 많이 의존하고 있던 폭스바겐이 한국산 파우치형 배터리 비중을 줄이고 중국산 및 자체생산 각형 배터리 비중을 늘린다는 '독립선언'을 했다. 양사 합쳐 수천억원의 소송비용 출혈도 이뤄졌다.

하지만 더 늦지 않게 극적 합의에 도달하면서 양사는 막 본격적으로 열리기 시작한 배터리시장 선점을 위해 함께 달릴 수 있게 됐다.

LG에너지솔루션 김종현사장과 SK이노베이션 김준 사장은 "한미 양국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발전을 위해 건전한 경쟁과 우호적인 협력을 하기로 했다"며 "특히 미국 바이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배터리 공급망 강화 및 이를 통한 친환경 정책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합의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주신 한국과 미국 정부 관계자들에게 감사 드린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