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반도체 대전 '강제참전'…'사흘 침묵' 삼성의 속사정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 2021.04.06 05:13
글자크기
미중 반도체 대전 '강제참전'…'사흘 침묵' 삼성의 속사정


"긍정도, 부정도 할 수 없다. 회의에 참석하는지, 누가 참석할지, 상황은 지난주와 달라진 게 없다." (삼성전자 고위 임원)



삼성전자 (82,100원 ▲1,300 +1.61%)가 5일도 침묵했다. 미국 백악관이 전세계적인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대책 논의를 위해 안보보좌관 주관 회의에 초청했다는 지난 2일 블룸버그통신 보도가 나온 지 사흘째다.

그 사이 주말을 지나면서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동맹을 통해 겨냥한 중국에서는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정의용 외교부 장관을 만나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기술 분야의 협력을 논의했다.



좋게 말해서 미국과 중국의 구애지 현실적으로는 전세계 원톱 국가를 노리는 두 강대국의 압박이 동시에 삼성전자를 향한 셈이다. 이재용 부회장마저 자리를 지키지 못하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침묵이 길어지는 배경이다. 반도체업계 한 인사는 "그만큼 고민이 깊다는 게 아니겠냐"고 말했다.

주말 마라톤 회의 후 또 침묵…깊어가는 동맹 고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지난달 18일(현지시간)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열린 양제츠 중국 외교 담당 정치국원, 왕이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미국-중국의 고위급 회담을 하고 있다. /AFP=뉴스1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지난달 18일(현지시간)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열린 양제츠 중국 외교 담당 정치국원, 왕이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미국-중국의 고위급 회담을 하고 있다. /AFP=뉴스1
삼성전자 내부 사정에 밝은 복수의 재계 인사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블룸버그 보도를 접한 직후부터 진위 파악과 함께 대책 논의에 착수했다. 지난 3, 4일 주말에도 백악관 초청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두고 회의가 이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삼성전자의 고민은 백악관의 초청이 바이든 정부가 마련한 가벼운 상견례가 아니라는 데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직접 반도체 칩을 손에 들고 반도체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뒤 세계 최대 반도체업체로 꼽히는 인텔이 3년만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재진출을 선언한 상황에서 백악관 안보보좌관이 '소집'한 회의다.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전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는 "미국이 안보 차원에서 반도체를 바라보기 시작한 것은 삼성전자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는

美현지 증설 압력…"패러다임 변화 땐 새 도전 직면"
미중 반도체 대전 '강제참전'…'사흘 침묵' 삼성의 속사정
업계에서 예상하는 시나리오는 대규모 투자 요구다. 반도체 부족 사태로 애플·포드·GM(제너럴모터스)·테슬라 등 내로라하는 미국 기업의 차질이 빚어지면서 바이든 정부가 일단 미국 현지 생산기지 확보를 최우선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삼성전자로선 대규모 텍사스주 오스틴 공장 투자를 앞두고 계산기를 두드리는 와중에 미국 정부의 증설 압력이 더 커진 셈이다.

좀더 멀리 내다보면 미국이 어느 상황까지 구상하는지 가늠키 어렵다는 점에서 삼성전자가 느끼는 불안감도 상당하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산업이 선두로 올라선 데는 그동안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이 반도체 생산을 포기했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며 "최근 미국과 유럽의 복귀 선언으로 시장 패러다임이 바뀌면 삼성전자도 새로운 도전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줄서기 강요에도 해법 애매…"우리 정부도 눈치"
팻 겔싱어 인텔CEO(최고경영자). 겔싱어 CEO는 지난달 24일 파운드리 재진출을 3년만에 선언했다. /사진=뉴스1팻 겔싱어 인텔CEO(최고경영자). 겔싱어 CEO는 지난달 24일 파운드리 재진출을 3년만에 선언했다. /사진=뉴스1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과의 관계는 꼬일대로 꼬인 실타래다. 미국의 '반도체 내셔널리즘'이 화웨이에 대한 반도체 공급 차단을 넘어 삼성전자의 중국 내 반도체 사업에 제동을 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서 낸드플래시 생산 1·2공장을 운영한다. 2공장은 총 150억달러를 들여 2단계까지 증설 투자가 마무리됐다.

서동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소재부품원천연구본부장은 "그동안 어느 정도 줄타기를 용인해온 미국이 백악관 회의에서 '이제 줄을 똑바로 서라'고 메시지를 전할 경우 상황은 더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4대 그룹 한 인사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초반에도 확인했지만 미국이 어느 기업 하나를 콕 찍어서 요구를 하면 거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국가 대 국가 차원에서는 꺼내기 힘든 요구를 그럴싸하게 포장하면 우리 정부에서도 나서기 어렵다"고 말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국내 일자리 문제가 만만찮은 상황에서 대규모 해외투자에 내몰리는 상황을 두고 우리 정부의 눈치도 보는 것 같다"고 전했다.

G2 갈등 이젠 상수…"균형·실리 우선할 수밖에"
삼성전자 사우스캐롤라이나 가전공장. 삼성전자는 2017년6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정부와세탁기 생산라인 투자 MOU(양해각서)를 체결, 신규공장을 건설했다. 당시 미국 현지공장 건설 배경으로는 트위터에 직접 '땡큐 삼성'이라는 글을 올리면서 노골적으로 '선물 보따리'를 요구했던 트럼프 행정부의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이 꼽힌다. /사진제공=삼성전자삼성전자 사우스캐롤라이나 가전공장. 삼성전자는 2017년6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정부와세탁기 생산라인 투자 MOU(양해각서)를 체결, 신규공장을 건설했다. 당시 미국 현지공장 건설 배경으로는 트위터에 직접 '땡큐 삼성'이라는 글을 올리면서 노골적으로 '선물 보따리'를 요구했던 트럼프 행정부의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이 꼽힌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전문가들의 해법은 엇갈린다. 미중 패권전쟁이 '상수'가 된 만큼 중장기적으로 '전략적 모호성'을 넘어서 새 판 짜기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미국과 중국 외에 제3의 우군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회장(한양대 융합전자공학 교수)은 "중장기 대책과 별도로 당분간은 큰 틀에서 균형과 실리를 우선하는 것밖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며 "삼성전자의 침묵도 이런 전략의 일부일 수 있다"고 말했다.

미중 반도체 대전 '강제참전'…'사흘 침묵' 삼성의 속사정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