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배당·분기배당…하반기' 금융주 공격적 추가배당' 나온다

머니투데이 김상준 기자 2021.03.28 13:45
글자크기
중간배당·분기배당…하반기' 금융주 공격적 추가배당' 나온다


금융당국 권고에 따라 지난해 배당성향을 20% 수준으로 결정한 금융지주들이 하반기 공격적인 추가 배당을 예고하고 나섰다. 금융지주들은 이번 정기 주주총회에서 정관을 변경하거나 재원을 확보하면서 추가 배당을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다. 배당 자제 권고가 종료되는 6월말 이후 금융지주들이 중간배당이나 분기배당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5~26일 열린 주총에서 4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금융)는 일제히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강조했다. 금융당국의 배당성향 제한으로 예년에 비해 배당이 축소되자 주주 반발을 고려한 일종의 '주주 달래기'다.



KB금융은 '배당성향 30%' 의지를 재확인했다. 윤종규 KB금융 회장은 주총에서 "늘 약속한 대로 배당성향이 30% 정도는 돼야한다는 생각"이라며 "최대한 빠른 시일 내 (배당성향 30%에) 접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중간배당을 들었다. 윤 회장은 "정관에 중간배당은 이미 허용돼 있다"며 "중간배당을 통해 분기별 또는 반기별로 안정적인 배당을 하겠다"고 말했다.

하나금융도 중간배당을 실시할 가능성이 높다. 하나은행은 4대 금융 중 유일하게 매년 중간배당을 실시해왔다. 이후승 하나금융지주 재무총괄전무(CFO)는 주총에서 "중간배당과 기말배당을 포함해 주주가치가 지속적으로 증대될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한금융은 이번 주총에서 정관을 바꿔 중간배당뿐 아니라 분기배당도 가능하도록 했다. 새 정관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연 4회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은 주총에서 "주주가치 측면에서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는 것을 경영진 모두 가슴에 새기고 있다. 적극적 주주환원정책으로 주주가치를 높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우리금융도 추가 배당을 염두에 둔 재원 마련을 마쳤다. 우리금융은 주총에서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해 배당가능이익 4조원을 확보했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은 주총에서 "올해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하나금융을 제외한 다른 금융사들은 그동안 중간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다. 정관에 따라 중간배당이 가능했지만, 전체 배당성향을 점차 확대하면서 주주가치를 높이는 방향을 택했다. 하지만 올해 금융당국이 코로나19(COVID-19) 장기화 등을 이유로 배당성향을 일률 제한하면서 금융지주들이 중간배당 등 추가 배당 카드를 꺼낸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는 4대 금융이 추가 배당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금융지주들이 사상 최대 실적을 냈는데도 당국 제한 때문에 배당성향은 20% 수준에 그쳤다"며 "애초에 금융지주 주주들은 배당을 바라고 투자한 경우가 많아 추가 배당을 통해 만회해야 할 필요성이 생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BNK금융 등 지방금융지주들은 중간배당 등 계획은 없지만, 마찬가지로 주주환원정책을 확대할 예정이다. 김지완 BNK금융 회장은 이번 주총에서 "배당확대 등 주주환원정책을 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배당성향을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역대 최대 순이익을 내며 배당성향을 지난해 대비 2.9%포인트 상승한 20%로 정한 JB금융도 향후 배당성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DGB금융 역시 적극적인 주주가치 제고를 목표로 주주환원정책을 이어갈 방침이다.

하반기 공격적인 배당이 실현될 지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지난달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6월 이후 금융권 중간배당에 개입할 여지를 남겼기 때문이다. 은 위원장은 이때 "6개월 후 은행의 자본 건전성을 보고 정상화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앞서 1월 은행권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를 근거로 배당성향 20%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권고 종료 시점을 6월로 잡았다. 이 시점 이후에는 자본적정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자율 배당이 가능하다고 했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6월을 시한으로 못박아 하반기 자본이 썰물처럼 빠져나가게 유도한 측면이 있다"며 "건전성을 명분으로 삼았던 만큼 예고된 상황을 그대로 눈 감아줄 것인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