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운영위는 이날 국회에서 국가 인권위원회, 대통령비서실 및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 소관업무에 대한 보고를 받는다. 청와대에선 지난해 12월 말 취임한 유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을 비롯해 김상조 정책실장, 서훈 국가안보실장, 정만호 국민소통수석 등 주요 참모들이 대부분 참석할 예정이다.
신 수석은 '비서실장이 부재 중인 상황에서 국정 현안에 신속하게 대응해야 하는 업무적 특성을 고려해 자리를 비울 수 없다'는 취지의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청와대 민정수석은 국회 운영위에 불출석해왔다.
김성원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신 수석의 사퇴 파동으로 문재인 정권의 레임덕이 고스란히 드러났다"며 "내일 열리는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그 실체를 낱낱이 파헤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신 수석이 직무에 복귀하고 검찰 고위 인사 과정에서의 위법적인 부분이 없었다는 점도 확인된 만큼 신 수석 문제는 일단락됐다는 입장이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머니투데이 더300과의 통화에서 "운영위에서 신 수석에 대해 논란이 될 일은 없을 것"이라며 "이에 대해 따로 대책을 논의하거나 준비하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
신 수석의 사의 표명 배경과 복귀 의미, 문재인 대통령의 침묵에 대해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주고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 일각에선 신 수석이 사의를 접은 게 아니라 '사의 표명 사태'로 번진 상황을 수습하는 차원에서 결정권을 문 대통령에게 넘긴 차원이란 해석이 나오기도 한다.
유 실장은 신 수석이 처음 사의를 표명했을 때부터 신 수석을 설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까지 신 수석의 사의 파동과 관련된 인사재가에 대해서는 청와대가 구체적인 과정을 밝히지 않고 있어 내부 상황을 잘 아는 유 실장의 입을 통해 진상을 파악하겠다는 게 야당의 방침이다.
여권 한 관계자는 "미국에 있던 신 수석에게 전권에 가까운 권한을 약속하고 불러들인 것이 문 대통령이었을텐데 이번에도 역시 비슷한 약속으로 다시 신 수석을 붙잡았지 않았겠느냐"며 "후임자가 정해지고 상황이 다시 변하면 언제든 돌아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