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풀어 수소충전소...반값 수소버스도 나온다

머니투데이 세종=민동훈 기자 2021.02.23 11:00
글자크기
4일 인천 중구 하늘정원 인근에 하이넷 인천공항T1 수소충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이날 첫 운영을 시작한 인천공항T1 수소충전소는 시간당 승용차 기준 5대를 충전할 수 있는 25kg 사양이며,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연중무휴로 운영된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4일 인천 중구 하늘정원 인근에 하이넷 인천공항T1 수소충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이날 첫 운영을 시작한 인천공항T1 수소충전소는 시간당 승용차 기준 5대를 충전할 수 있는 25kg 사양이며,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연중무휴로 운영된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올해부터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에 위치한 버스, 택시 차고지 등 수소충전소를 지을 수 있게 된다. 수소연료전지치 확산을 위해선 충전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관련 규제를 완화키로 한 것이다. 아울러 수소버스 전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내년부터 '수소연료전지'를 빌려쓰는 '리스사업'을 통해 차량 가격을 반값 수준으로 낮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18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통해 이번 친환경차 기본계획을 논의했다. 2025년까지의 친환경차 개발 및 보급 전략을 이날 국무회의에서 법정계획으로 확정함으로써 범정부적인 이행력을 확보했다.



이날 공개된 본안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수소차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해 그린벨트 입지규제를 개선키로 했다. 우선 그린벨트 내 위치한 택시‧버스‧화물차 차고지에 충전소 설치를 허용한다. 그린벨트 부지 소유자만 설치가 가능했던 규제도 풀어 임차인의 설치도 허용한다. 도시공원에도 수소충전소 설치를 허가한다. 현재는 수소충전소의 경우 점용허가 대상 아니지만 연내에 관련 규제를 개선키로 했다.

아울러 기존 LPG·CNG 충전소 활용 및 민원 우려가 적은 공공 유휴부지(군부대·공공기관·환경기초시설 등) 중심으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소도시·산간지역 등을 중심으로 국산 부품을 활용한 이동형 수소충전소 모델을 올해 시범 운영한다. 전시·체험관과 충전소를 결합한 메가 스테이션 등 새로운 형태의 충전소 모델도 조기 도입한다.



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0 수소모빌리티+쇼에서 수소 전용 대형 트럭 콘셉트카 'HDC-6 넵튠'이 전시돼 있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0 수소모빌리티+쇼에서 수소 전용 대형 트럭 콘셉트카 'HDC-6 넵튠'이 전시돼 있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경유화물차의 수소차 전환을 위해 화물차 휴게소 등 물류거점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정부는 2025년까지 전국 450개 수소충전소를 운영함으로써 전국어디서든 30분이내에 충전소 접근이 가능케 하겠다는 복안이다.

대중교통 수단의 수소차 전환도 속도를 낸다. 수소연료전지를 대여해주는 '리스사업'을 버스 분야에 도입해 차량가격을 반값 수준으로 낮춘다. 리스사업이 시행되면 현재 수소버스 보조금을 받아 1억3800만원 수준으로 형성된 수소버스 가격은 절반수준인 7000만원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내연기관 차량과 가격차이가 벌어지는 이유 중 하나인 수소연료전지 가격을 규모의 경제, 기술개발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저감한다. 주요 부품모듈 시스템화·대량생산 등을 적용할 경우 현대차 (245,500원 ▼1,500 -0.61%) 넥쏘 기준 수소차 연료전지시스템 가격은 현재 5000만원 수준에서 2025년 2500만원, 2030년 1400만원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수소트럭 전용 플랫폼을 도입해 5톤 수소청소차, 10톤 수소특수차(살수차, 노면청소차 등) 등 특수차를 조기에 상용화한다. 내구성·가격경쟁력이 대폭 개선된 5000만원대 차세대 '넥쏘'도 출시할 계획이다. 2023년까지 도심형 '수소트램'을 상용화하고 온실가스·미세먼지 배출이 많은 디젤열차를 단계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수소광역열차의 상용화도 추진한다. 이밖에 공항에서 화물카트를 견인하는 로더, 램프버스 등 공항용 차량과 야드트랙터 등 항만 하역장비 등을 수소차량으로 전환하는 사업도 병행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환경차는 수송분야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줄이는 효과적인 수단이며,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성장동력"이라며 "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을 범부처와 협력하여 차질없이 이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