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도 못 버티는 "은행하기 나쁜 나라"

머니투데이 양성희 기자 2021.02.23 08:25
글자크기
서울 종로구 한국씨티은행 본점/사진=뉴스1서울 종로구 한국씨티은행 본점/사진=뉴스1


씨티그룹 미국 본사의 한국 철수설이 불거지면서 '은행하기 나쁜 나라'라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빅테크의 가세로 경쟁이 심화한 데다 노골적인 관치금융으로 한국 시장의 매력이 떨어졌다고 봐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한국 시장에서 사업영역 정리를 검토 중이다. 우선 한국씨티은행 소매금융 부문 매각이 거론된다. 한국씨티은행을 포함해 외국계 은행의 매각설은 여러 차례 돌았다. 실제 HSBC는 사업성 부진을 이유로 2013년 소매금융을 접었고 SC제일은행도 매각설에 시달렸다.

최근에는 금융당국의 강도 높은 규제가 외국계 은행을 내모는 요인으로 꼽힌다. 가계대출 관리를 월별로 압박한 탓에 한국씨티은행도 신용대출 금리를 올려야 했다. 일률적으로 배당성향을 20% 이내로 정하는 등 코로나19(COVID-19) 시대 규제 강도가 높아졌다. 중소기업 지원책으로 이자 유예 등 조치도 시행 중이다. 게다가 한국씨티은행은 철 지난 키코(KIKO) 사건에 금융감독원이 배상을 권고해 애를 먹기도 했다. 이 같은 관치에 가까운 개입은 영미권 정서와 어긋난다.



안 그래도 대형 은행이 독점한 소매금융 시장에 빅테크까지 뛰어들어 설 자리가 좁아졌는데 규제까지 더해졌다. 그렇다보니 한국씨티은행은 5년 사이 점포 수를 3분의1로 줄이는 등 사업 축소 수순을 밟았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점포 수는 43개로 5년 전(134개)에 비해 68% 급감했다. 또 2016년 캐피탈 자회사, 2017년 신용정보 자회사, 2019년 서울 중구 본점 등을 잇따라 매각했고 은행 사업을 자산관리(WM), 기업금융에 특화하는 쪽으로 재편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외국 주주, 본사 입장에서 이자 유예 등 코로나 금융지원에 더해 배당 제한, 이익공유제 얘기까지 나오는 국내 행태를 이해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저금리, 저성장, 저출산 늪에 빠진 한국에서 은행업을 펴기 어려운데 규제까지 더해지니 손을 떼고 싶었을 것"이라고 했다.

한 외국계 금융회사 임원은 "최근 금융당국의 규제를 보면 선진화한 금융업을 다시 과거로 되돌리는 모양새"라며 "근시안적인 대책으로 오락가락하는 규제 정책을 본사에 설명하기가 여간 곤혹스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본사의 금융 기법, 프로세스를 국내에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했다.


이러한 지적에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규제보다는 사업 모델을 이유로 삼았다. 그는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외국계 은행이 오고 안 오는 문제는 결국 비즈니스 모델 때문"이라며 "한국경제가 활력을 찾고 더 많은 비즈니스가 생기면 외국계 금융회사에 매력적일 것"이라고 했다. 이어 "외국계 금융사를 끌어올 만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챙기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