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경제보복 1년째 꽉 막힌 대화에…日정부 허가받는 삼성

머니투데이 이정혁, 심재현 기자 2021.02.16 15:20
글자크기

[the300]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충남 공주시 화학 소재 전문기업 솔브레인 공장을 방문해 신규공장 현장을 둘러보고 현장 근로자들을 격려하고 있다/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br>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충남 공주시 화학 소재 전문기업 솔브레인 공장을 방문해 신규공장 현장을 둘러보고 현장 근로자들을 격려하고 있다/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한국과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수출규제 대화가 1년째 단절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한국이 WTO(세계무역기구)에 일본을 제소한 이후 양국의 경제 연락 채널이 완전히 닫힌 것이다.



삼성과 SK, LG 등 국내 주요 기업이 여전히 일본의 경제보복 사정권에 있는 만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자립 전략과 함께 양국간 수출규제 완화 협의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일본 경제산업성의 수출규제 관련 회의는 총 2차례(2월, 3월)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회의의 경우 3월 '국장급 수출관리 정책대화'를 위한 준비회의인 것을 감안하면 양국은 사실상 단 한 차례만 만난 것이다.



일본은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 차원으로 2019년 7월 반도체·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와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등 핵심 소재 3개 품목의 수출을 전면 제한했다. 지난해 6월 한국은 WTO DSB(분쟁해결기구)에 일본을 제소했고 이를 문제삼은 일본이 일방적으로 대화를 중단했다.

일본은 현재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체를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불화수소 수출 허가를 내주고 있다. 이러는 사이 SK머티리얼즈는 5N(99.999%)급 고순도 불화수소 양산에 성공하고 삼성전자는 불화수소 재사용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국내 산업계에 '탈(脫)일본' 속도가 붙었다.

그럼에도 12N(99.9999999999%)급 초고순도 불화수소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일본 업체가 약 70% 차지하는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특히 최근 일본 내각에서 '비한(非韓) 3원칙'(돕지 않고, 가르치지 않고, 관여하지 않는다) 분위기가 팽배한 것에 비춰봤을 때 다른 핵심 소부장을 수출규제 품목으로 돌릴 수도 있다.


산업부는 '소부장특별법' 전면개정, 특별회계 신설 등 '소부장 2.0 전략'과 함께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 다변화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계 안팎에서는 산업부의 대응이 다소 안이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일본산 전자부품 수입액은 66억달러(약 7조2800억원)로 전년보다 8.9% 증가하는 등 대일 의존도가 여전한데 수출규제 재개에 미온적인 모습을 보여서다.

한 산업계 관계자는 "한일 관계가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우선이지만 경제는 가급적 분리해야 양국에 피해가 없다"며 "일본 정부도 고집만 부릴 것이 아니라 글로벌 밸류체인 측면에서 기존 조치에 대해서만이라도 정부간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