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후보자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으로 있으면서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 두차례 미북정상회담에도 관여해 내막을 속속들이 알고 있을 인물로 거론돼 왔다.
이에 대해 정 후보자는 2일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 정부가 북한에 대해 원전을 지원하기로 하는 방향을 검토했단건 어불성설"이라며 "청와대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차원에서 원전 제공 문제를 내부적으로 검토한적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정 후보자는 우리 정부가 북한에게 줬던 한반도 경제구상 관련 USB는 같은 자료를 미국에게도 줬다는 점도 확인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정 후보자에게서 USB를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진 볼턴 전 보좌관을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하는 방안도 추진했으나 무산됐다.
편법증여·재산신고 누락 의혹

이 빌라는 정 후보자의 장인이 소유했다가 1999년 정 후보자의 배우자에게 상속한 건물이었다. 결국 어머니의 빌라로 주민등록지를 이전하면서 재산신고를 거부했던 것이다. 그런데 1년 8개월 뒤 장남은 압구정 아파트에 입주한 데 이어 2002년엔 성동구에서 1억7476만원 짜리 아파트 소유권을 취득했다.
야권은 강남 아파트에 사회 초년생이 단독 입주하거나 강북 아파트를 취득한 과정에서 자금 출처가 불투명하단 점을 문제시했다. 장남이 재산 신고 회피 목적으로 빌라에 위장 전입한 게 아니냔 의혹까지 일었다.
2002년 5월 정 후보자의 배우자가 신사동 빌라를 팔았을 때 부동산 상속 취득 및 매매대금 수입을 신고하지 않았던 점도 논란이 됐다.
정 후보자측은 "당시 상속을 받고 매도하기까지 수개월에 불과해 재산신고 기간에는 소유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재산신고를 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장남의 빌라 전입에 대해선 "외조부가 병환으로 간병이 필요하게 되자 인근에 주거하고 있던 장남이 이를 자처한 것"이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자녀의 위장전입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정 후보자는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자료에서 "1983년 해외 파견 후 귀국 때 9살, 8살이었던 자녀들이 친구가 없는 초등학교에 입학해 적응하기 어려워할 것을 염려해 주소지를 처가로 이전했다"며 위장전입을 사실상 인정했다.
또 '음주운전'에 대해서 정 후보자는 "1989년 11월 음주운전을 한 적이 있다"며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공직자로서 적절하지 못한 행동을 한 것에 대해 깊이 반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