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장기화에 따른 예견된 실적쇼크다. 주력사업인 패키지(PKG) 여행을 비롯, 해외여행 사업 전반이 '셧다운' 되며 고꾸라졌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직전인 지난해 1월을 제외하고 2월부터 각국 여행 규제가 지속되며 △상용(비즈니스) △공용(공무) △유학·연수 △기타(나머지+승무원) 등을 제외하고 여행 목적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단순 관광 수요가 '제로(0)'에 수렴하면서다.
허리띠 졸라매라…본사 건물도 처분

결국 버티기 힘든 시점에 다다르자 하나투어는 '조직 효율화'를 추진키로 결정하고 인력 감축 등의 계획을 각 본부·부서 별로 수립해 조직 별로 희망퇴직 면담을 진행하고 있다. 하나투어 내부에선 이번 희망퇴직 규모는 전체 직원(약 2300명)의 절반인 1000여명 수준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인력감축 뿐 아니라 각종 자산도 처분하고 있다. 하나투어는 이날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본사 건물의 보유 지분을 940억원에 시티코어 디엠씨에 매각키로 결정했다. 처분 금액은 자산총액 대비 9.33%이며 처분예정일자는 오는 6월 30일이다.
에스엠(SM)면세점이 영업을 중단하고 다른 계열사들도 청산하거나 사이즈를 줄이는 상황에서 더는 현재 규모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나투어 본사 사옥은 천호기업이 소유한 서울 종로구 공평동의 '하나빌딩'으로 전체 5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2005년 천호기업부터 사들여 15년째 건물 절반을 본사와 계열사가 사용하고 있다.
하나투어는 향후 본사 이전 등에 대해서 검토 중이란 입장이다. 운영 효율화를 위해 조직·부서별로 분산할 가능성도 있다. 하나투어는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IT부서 일부가 인근 건물로 이동해 근무 중이다. IT플랫폼으로 사업 비중을 높이고 인력 감축을 비롯, 조직 전반에 다운사이징을 추구하는 만큼 이전처럼 큰 덩치를 갖추진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본사를 옮길지 현 위치에 임차해 사용할 지에 대해 검토 중인 상황"이라며 "다만 기존 건물에 머물기로 결정하더라도 여러가지 상황을 볼 때 현재의 규모를 유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