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매도액은 약 31억5500만원이다. 1주당 매도 단가는 1만5100원이다. 직전 보고서에서 사이언에셋이 1% 이상 지분을 늘리면서 1주당 약 1만5900원을 쓴 것에 비해 손해다. 오텍 주가가 하락세인 때문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특수 기대감에 12월 한달만에 주가가 12% 넘게 올랐지만 올해 1월에는 19% 넘게 하락해 상승분을 반납했다. 이날 종가는 1만3500원이다. 사이언에셋이 지난 2018년 6월 처음 5% 주주로 등재됐을 당시에도 1주당 매수단가가 1만1700원선임을 고려하면 내내 큰 재미를 보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으로 비츠로셀은 12월8일부터 1월21일까지 27만5220주를 팔아 44억5000만원을 손에 쥐었다. 9만8000여주를 16억원에 샀다가 12월 후반부터 37만주를 60억원 가량에 팔았다. 매수단가와 매도단가 모두 1만6100원 선으로 본전치기 수준이다.
비츠로셀 주가는 지난해 말 1만6500원에서 전날 1만5350원으로 약 7% 떨어졌다.
복지몰 위탁운영업체인 이지웰 투자로도 재미를 못봤다. 사이언에셋은 최근 보고서에서 이지웰 주식을 총 21만주 사고 50만주 팔아 총 31억원을 손에 쥐었다.
1주당 매도단가는 1만700원선인데 21만주에 대한 매수단가가 1만500원 선이어서 큰 차익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지웰 역시 지난해 말 주가가 1만4000원까지 올랐다가 올해 들어 조정을 받았다.

한국에선 지난해 3월 코로나19 폭락장 속 주식을 대거 매수했지만 모두 코스닥 상장사인데다 주도업종을 비껴가 있어 큰 수익을 내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사이언에셋 보유종목 중 유일한 코스피 기업인 조선선재 (98,600원 ▼800 -0.80%)는 지난해 3월 5.14% 매수한 후 보유 중이다. 평균 매수단가는 7만원선인데 이날 10만8000원에 장을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