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자원 관리할 ‘차세대 중형위성 1호’ 발사장으로 출발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1.01.22 07:00
글자크기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약 2개월간 발사 준비 과정을 거친 후 3월 20일 발사

차세대중형위성 1호 상상도/사진=과기정통부차세대중형위성 1호 상상도/사진=과기정통부


오는 3월 발사를 앞둔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22일 카자흐스탄 발사장으로 출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국토교통부는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우리나라 시간으로 3월 20일 15시 7분경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며 22일부터 이송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저궤도 실용급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현지기준 이달 24일 발사장인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 도착할 예정이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일 전까지 상태 점검, 연료주입, 발사체 결합 등 발사 준비 과정을 거쳐, 러시아 JSC 글라브코스모스사의 소유즈 2.1a 발사체를 통해 우주로 향한다.

발사 후 고도 497.8km 궤도에서 약 2개월의 초기운영 과정을 거쳐 오는 6월 이후부터 본격적인 정밀지상관측영상을 제공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사업은 1, 2단계로 추진한다. 1단계는 500kg급 표준형 위성 플랫폼 확보 및 정밀지상관측용(흑백0.5m급, 칼라 2.0m급) 중형위성 2기(1호, 2호)를 국내 독자 개발하는 것이다.

2단계는 1단계 사업으로 확보된 500kg급 표준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중형위성 3기(3호 우주과학·기술검증, 4호 광역농림상황 관측, 5호 C-밴드영상레이다 수자원관측)를 국산화해 개발하는 사업이다.

주관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세대중형위성 1호 개발사업을 통해 중형위성급 시스템 및 표준본체 기술을 확보하고, 국내 산업체에 이전해 해외 기술에 의존해왔던 정밀광학탑재체를 국내 독자 모델로 국산화했다.


정밀지상용광학탑재체는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3A호(해상도 흑백 0.55m급, 칼라 2.2m급)와 동급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100kg 이상의 경량화를 이뤘다. 또 차세대 기술인 플래시메모리 방식의 영상자료처리장치를 채용, 3A호 대비 저장용량이 6배 늘었고, 전력사용량과 무게는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또 대부분의 핵심 구성품을 국내 산업체 및 연구기관을 통해 개발함으로써 높은 국산화율을 달성했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발사되면, 효율적인 국토·자원 관리, 재해·재난 대응 등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정밀지상관측영상을 적기에 신속하게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1호 개발을 통해 항우연이 확보한 기술의 산업체 이전을 통해 후속 중형위성(2∼5호)의 전체 시스템을 국내 산업체가 주관해 개발하게 됐다”며 “국내 위성 산업화의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