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지사의 독자 행보에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재난지원금으로 국민마음을 흩어지게 하면 안된다"고 충고하자 이 지사는 "더 큰 대가를 치러야 할 지도 모른다"고 응수했다.
이후 김 최고위원은 "전국민 지급이 꼭 유일한 해법은 아니"라고 유보했고 이 지사는 "국민들 의식 수준을 무시하는 게 아니냐"고 맞받았다. 여기에 같은 당 김두관 의원도 김 최고위원을 지지하며 공방전에 가세했다.
김 최고위원은 "자꾸 재난지원금 전국민 지급을 하면 뭐가 달라질 거라고 보는데 전국민 지급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고 방역에 성공하면서 경제위기도 막아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4차든 5차든, 꼭 4차가 전국민 일괄지급이 아닐 수도 있다"고 선을 그었다.
이 지사는 보편 지급에 부정적 의견이 나오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섰다. 이 지사는 이날 국회 당정협의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재난지원금을 보편 지급하면 돈을 쓰러 철부지처럼 몰려다닐 것이란 생각 자체가 국민의 의식 수준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취재진을 향해서도 "여러분들 같으면 1인당 20만~30만원이 지급된다고 방역 지침을 어겨가면서 막 쓰러 다니겠냐"며 "이건 사실 국민을 폄하하는 표현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이 지사는 "지금도 경제 어려움 때문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3단계로 올려야 하는 데도 안 올리고 있다"며 "국민을 존중하시면 그런 생각을 하시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두관, 김종민 지지 "방역체계 지역별로 따로 가면 허점 생겨"김두관 의원도 공방전에 가세했다.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김종민 최고위원이 오늘 경기도 자체의 두 번째 재난지원금을 지적한 것은 시의적절했다"며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시기는 3차 대유행이 지날 때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와 협력해야 한다"며 "감염병과의 전쟁에서 방역이라는 준 전시상태를 흐트러뜨려서는 안 된다. 방역체계가 지역별로 따로 가면 허점이 생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진 상황에서 방역정책에 부정적 효과가 없어야 성공한다"며 "튼튼한 방역 위에 가계와 국가경제를 살리는 재정정책을 작동시키는 것이 재난지원금 지급 시기를 고르는 원칙이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최고위원은 전날 "방역당국과 조율되지 않은 성급한 정책은 자칫 국가 방역망에 혼선을 줄 수 있다"며 "지자체별 지원금 정책이 의도와 다르게 지역 양극화를 불러와 코로나 국면에 국민 단합을 헤쳐서도 안된다"고 경기도 재난지원금 정책을 비판했다.
김 최고위원은 회의장을 나가면서 같은 지도부 일원인 염태영 수원시장 등에게 "의원들도 그렇고, 지자체장도 그렇고 이 지사가 나오면 말을 안 한다. 눌려 있는 것 같다"고 말하는 것이 언론에 포착되기도 했다.
이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 정부의 일원으로서 중앙정부는 물론 당과 발맞추는 일은 당연하고 중요하다"면서도 "국민들의 삶도 바라봐 달라. 보건 방역과 더불어 시급하게 경제 방역에 나서지 않는다면 우리는 더 큰 대가를 치러야 할 지도 모른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