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초 유상 서비스 출시한 카카오…상반기 자체 기술력으로 '업그레이드'
모빌리티 업체들은 올 상반기 유상 자율주행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저마다 다양한 실험을 진행중이다. 가장 먼저 유상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인 곳은 카카오모빌리티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달 18일 정부 세종청사 주변에서 자율주행 셔틀 운행에 돌입했다. 셔틀 구현을 위한 기술 파트너는 스타트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세종청사에서의 운행 경험을 기반으로 상반기에 보다 개선된 유상 자율주행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상반기 중 자체 기술로 유상 자율주행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라며 "서비스 지역 확대와 더불어 선별된 인원을 넘어 불특정 일반인으로 탑승객 범위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쏘카가 이처럼 장거리 구간을 택할 수 있었던 것은 오랜 기간 자율주행 상용화에 집중해온 결과로 풀이된다. 쏘카는 2018년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에 투자하면서 자율주행 서비스에 관심을 가졌다. 지난해 5월 라이드플럭스와 함께 제주에서 자율주행 셔틀 무료 서비스를 처음 선보이기도 했다.
그만큼 데이터도 많이 쌓았다. 라이드플럭스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자율주행 운행 횟수는 5511회, 순수 자율주행 시간은 3만143분, 반경 50m 이내 차량 15대 이상 상황의 자율주행 시간은 1만834분에 달한다. 교차로, 횡단보도, 신호등, 이면도로 합류 구간 통과 횟수는 10만3178회다.
이를 기반으로 쏘카는 교통 통제, 짧은 시간 등 제한된 조건하에 이뤄지는 자율주행 서비스가 아닌, 돌발 상황이 잦은 도로에서도 불특정 일반인을 대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가 나온다. 쏘카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자율주행 시범 서비스에 돌입해 방대한 데이터와 노하우를 축적해 완성도 높은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며 "상반기 유상 자율주행 서비스 출시를 시작으로 제주 전역은 물론 세종시 도심까지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티투닷도 상반기에 자율주행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지난해 자율주행을 위한 카메라와 플랫폼, 지도, 소프트웨어 등의 개발을 마쳤고, 국토부로부터 임시운행 허가증도 받았다. 현재 출시 일정을 조율 중으로, 서울 상암 지역에서 자율주행차를 활용한 유상운송 서비스를 시작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