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승인기업은 모두 지난해 개정법 시행으로 도입된 신산업진출 유형이다. 주요내용을 보면 내연기관차에서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로 진출하는 10개 중소기업의 사업재편을 승인했다. 우진공업(수소차 열관리시스템), 에코플라스틱(초경량 차체부품), 삼기(전기차 모터 하우징), 코모스(자율주행차 조향장치), 세종공업(수소차 연료전지 부품), 베바스토코리아H(전기차 배터리 모듈), 디아이씨(전기차 감·변속기), 동양피스톤(수소차 연료전지 부품), 세코닉스(자율주행차 렌즈), 디에스시동탄(전기차 좌석) 등 10개사다.
디지털혁신 경제로의 전환에 발맞춰 제조업 디지털 전환에 나서는 8개 기업들도 이번 심의를 통과했다. 대모엔지니어링과 한국엠엘, 우림하이테크, 티엠티에스 등 4개 건설기계장비기업은 대모엔지니어링을 중심으로 협력기업 간 제조DB(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연계하는 방식의 공동 사업재편을 추진한다. 위니아딤채와 삼인, 한새, KC모터 등 4개사는 사회복지서비스와 연계한 AI(인공지능) 안심케어 가전분야로 공동 사업재편에 나선다.
이에 따라 올해 사업재편 승인을 받은 기업은 총 57개 기업이다. 이는 2016년 기업활력법 도입이후 연간기준 역대 최대다. 업종별로는 올해 자동차부품기업이 22개사로 가장 많았다.
정부는 경제 활력회복을 위해 사업재편 활성화가 중요하다는 공감대 확산에 따라 관계부처 공동으로 사업재편 인센티브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달 17일 발표한 내년 경제정책방향을 보면 △자산매각 양도차익 과세이연 요건완화 추진 △사업재편 전용 R&D·펀드 우선지원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과 연계한 정책금융 지원 병행 등 수요-공급기업간 공동사업재편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3종을 신규 도입한다.
사업재편 이행 지원을 위해 양도차익 과세이연 시 적용되는 부채비율 요건 완화, 등록면허세 감면 범위 합리화 등 세제정비도 추진한다. 캠코의 역할 강화를 통한 설비교체 지원도 내년부터 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사업재편 승인기업 전용R&D(100억원)및 사업화 지원(18억원) 사업, 사업재편 지원펀드(200억원+α) 등도 새롭게 도입한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강화된 사업재편 제도를 바탕으로 내년 경제정책 핵심방향인 한국판 뉴딜, 탄소중립 산업혁신 촉진을 위해 디지털, 친환경 전환 사업재편을 총력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