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지주는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배송량 급증으로 택배박스 수요가 늘며 수혜주로 꼽혀왔다. 올해 초 대비 영풍제지 주가는 137% 이상, 신풍제지 (1,043원 ▲9 +0.87%)는 무려 183% 넘게 상승했다. 같은 기간 깨끗한나라 (2,685원 ▼5 -0.19%)는 92.5%, 태림포장 (2,875원 ▲5 +0.17%)은 54.5% 올랐다.
이같은 차이는 업체별로 만드는 종이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이다. 종이는 기록물에 쓰이는 인쇄용지, 포장에 쓰이는 산업용지, 화장지 등을 포함하는 위생용지 등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이중 코로나19 수혜를 입은 업체는 골판지·백판지 등을 만드는 산업용지 업체다. 인쇄용지 업체는 비대면 근무 및 수업 활성화로 오히려 타격을 입었다.

영풍제지, 아세아제지, 태림포장, 삼보판지는 골판지 또는 골판지 상자 제조업체다. 신풍제지와 한창제지는 제과·의약품·화장품 포장재로 쓰이는 백판지 제조업체다. 다만 신풍제지는 기계설비를 최근 한창제지에 매각해 현재는 종이 생산을 하고 있지 않다.
깨끗한나라는 백판지 등 산업용지 사업이 매출의 절반 가량을 차지한다. 깨끗한나라의 올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46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1억원)보다 9배 넘게 늘었다.
반면 펄프·인쇄용지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무림P&P의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17억원으로, 지난해(442억원) 대비 4분의 1 토막이 났다. 국내 1위 제지업체인 한솔제지는 산업용지 실적은 양호했으나 인쇄용지 부문이 적자를 기록하면서 실적이 부진했다.
유 연구원은 "올해 골판지 제조업체에서 화재사고가 두 차례 나며 공급이 줄어든 점도 영향을 미쳤다"며 "내년부터 중국이 수입산 고지(폐지)를 전면 반입 중단하면서 원가 하락이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도 관련 업계에 호재"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