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5만년 전 직경 200m 운석 떨어졌다” 경남서 충돌구 최초 발견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0.12.14 13:42
글자크기

지질자원硏, 합천군에서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 발견

운석충돌 시 발생하는 강력한 충격파 영향으로 만들어지는 shatter cone 구조 (정점에서 방사상으로 홈이 나 있는 운석충돌 원뿔구조암/사진=지질자원연운석충돌 시 발생하는 강력한 충격파 영향으로 만들어지는 shatter cone 구조 (정점에서 방사상으로 홈이 나 있는 운석충돌 원뿔구조암/사진=지질자원연


경남 합천군에서 약 5만 년 전쯤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최소 직경 약 4km, 최대 직경 7km로 추정되는 운석충돌구가 발견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연구팀은 올 1월부터 경남 합천군에 위치한 적중-초계분지 현장조사를 실시하던 중,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를 발견했다고 14일 밝혔다.
적중-초계분지 (대암산 정상에서 촬영) 및 운석충돌 증거/사진=지질자원연적중-초계분지 (대암산 정상에서 촬영) 및 운석충돌 증거/사진=지질자원연
적중-초계분지는 한반도 남동쪽에 위치한 약 7km 직경의 독특한 그릇 모양의 지형이다.



연구팀은 분지 내에서 깊이 142m 시추코어조사와 탄소연대측정결과 등을 통해 적중-초계분지가 운석충돌에 의해 약 5만 년 전에 생성된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임을 밝혀냈다.

연구팀에 따르면 분지 중앙 142m 퇴적층은 토양·하천퇴적층(0~6.2m), 호수퇴적층(6.2~72m), 충격각력암층(72~142m) 등 3개의 퇴적층서 단위로 나뉜다.



이중 142m 충격각력암층에서 발견된 사암의 석영 광물 입자에선 ‘평면변형구조’가, 130m 셰일암석에선 ‘원뿔형암석구조’가 발견됐는데 이는 운석충돌에 의한 고유한 충격파로 만들어진 것이란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적중-초계분지에서 회수한 시추코어 사진 (지하 142m까지 시추)/사진=지질자원연적중-초계분지에서 회수한 시추코어 사진 (지하 142m까지 시추)/사진=지질자원연
연구팀은 이 운석충돌구 직경을 4km로 가정할 경우, 직경 약 200m 크기의 운석이 한반도에 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때 발생한 에너지는 약 1400MT(메가 톤, TNT 단위)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1980년 57명의 목숨을 앗아간 세인트헬렌스 화산 폭발 당시 발생한 총에너지와 맞먹는다.
운석충돌 시 발생하는 강력한 충격파 영향으로 만들어지는 석영 내의 평면변형구조 - 평행하게 길게 늘어선 홈처럼 보이는 흰색 선들(붉은색 화살표 방향)/사진=지질자원연운석충돌 시 발생하는 강력한 충격파 영향으로 만들어지는 석영 내의 평면변형구조 - 평행하게 길게 늘어선 홈처럼 보이는 흰색 선들(붉은색 화살표 방향)/사진=지질자원연
한편, 현재 전 세계에 공식적으로 인정된 운석충돌구는 200여 개이며, 적중-초계분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2010년에 발표된 중국의 슈엔 운석충돌구 이후로 2번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