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제약이 주관자로 선정된 사업은 '복막파종 종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CXCR4 표적화 차세대 테라노시스 영상소재 및 의료기기 개발)'이다. 이는 서울대학병원 및 숭실대학교 산업협력단과 컨소시엄이 구성돼 최종 협약이 완료됐다.
대장암과 난소암이 복막파종을 보이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약물 및 수술적 치료에도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대장암의 경우 20개월 미만, 난소암의 경우 10개월 미만의 생존율을 보여 새로운 치료법의 도입이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분자영상기술은 치료효과의 모니터링이 가능해 복막파종에 진단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XCR 표적 진단효율이 높아 재발성 난치암 및 난소암, 유방암, 위암 등 각종 종양치료 등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동성제약은 지난 3월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과 광역학 치료 임상연구 계약을 체결하고 복강경을 통해 췌장암에 PDT를 적용하는 임상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해당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의사들이 시술 가능한 복강경을 접목함으로써 광역학 치료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