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해·내년 성장률 올린 이유는…'수출·투자'

머니투데이 한고은 기자 2020.11.26 11:00
글자크기
한국 경제성장률 추이. /그래픽=이승현 디자인기자한국 경제성장률 추이. /그래픽=이승현 디자인기자


한국은행이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올려잡았다. 최근 국내경제 흐름에 대해서는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26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0.50%로 동결했다. 회의 후 배포한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는 이전에 비해 개선된 경기인식이 녹아 있다.



한은은 이날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1.1%, 3.0%로 제시했다. 지난 8월 전망에 비해 각각 0.2%포인트씩 상향 조정했다.

금통위는 결정문에서 "민간소비가 코로나19 재확산의 영향으로 더딘 회복 흐름을 보이고 건설투자 조정이 이어졌으나 설비투자가 회복 움직임을 나타냈으며 수출은 개선 흐름을 지속했다"며 "국내경제는 완만하게 회복되는 모습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지난달 금통위 때 "국내경제는 더딘 회복 흐름을 나타냈다"는 표현에 비해 한층 톤이 밝아졌다.

금통위는 "국내경제의 회복세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도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가계부채 급증에 대한 우려는 한층 높아졌다.


금통위는 향후 통화정책 과정에서 유의할 주요 변수로 △코로나19의 전개상황과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 △그간 정책대응의 파급효과 등을 꼽았다.

이중 금융안정상황에 대한 언급은 지난 10월 "금융안정상황의 변화"에서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로 더 구체화됐다.

지난 24일 한은이 발표한 '2020년 3분기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3분기말 가계신용 잔액은 전기대비 44조9000억원(2.7%) 증가한 1682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발 초저금리 기조와 부동산·주식 등 자산시장 과열이 맞물리면서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서 투자) 행렬이 이어진 탓이다.

특히 일반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이 포함된 기타대출은 3분기에만 전기대비 22조1000억원 늘어 지난해 1년 증가액인 23조1000억원에 육박하는 등 가계부채가 급증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