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염증이 유도된 대식세포에 망개나무 잎 추출물을 12.5μg/mL∼50μ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면역작용을 조절하는 신호전달물질인 산화질소가 28.5%∼60.4%까지 억제됐다.
또한, 염증 유발 시 과잉 생성되는 염증성물질 사이토카인 유전자(iNOS, COX-2, TNF-α, IL-1β, IL-6)의 발현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따르면 망개나무는 해독작용 및 간경변 질병에 효능이 있다고 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망개나무의 항암, 항비만,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망개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출원번호:10-2020-0053580)’로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박광훈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해 기존 항염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식물성 소재로 활용 가능할 전망”이라며 “앞으로 망개나무의 산업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유용성분 분석, 대량증식 기술개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